top of page
CMX_2022대지 304.png

BLOG

conup대지 832.png
conUP대지 1039.png
  • cmxblog

광주 아이파크 붕괴사고가 검측업무에 미칠 영향 분석

최종 수정일: 2022년 3월 14일

지난 1월 11일 안타까운 붕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신축중인 광주 화정 아이파크 현장은 모든 공사를 중단하고 인명구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붕괴형상이 39층에서 16개층 슬라브가 전부 내려앉은 상황이라 수색자체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조속한 수습을 기대해 봅니다. 이와 별도로 1월 27일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었습니다. 설을 며칠 앞둔지라 웬만한 현장은 27일부터 휴무에 들어가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그 어느 때보다 안전에 관한 관심과 대응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광주아이파크 현장의 경우 손실액이 단순추정으로 4,000억 (지체상금 산정 포함시 조단위도 예상한다고 함) 이라고 합니다. 현산은 돈이 많은 회사니까 그렇다쳐도 감리사에게 연대 배상을 요구시 그냥 파산하는게 나을 것입니다. 그럼 이후 공사관리의 모습은 어떤 형태로 바뀌게 될까요? 지금처럼 밀어부치는 검측관행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을까요? 만약 회사가 현장기술자, 감리자 개인이나 하청업체에게 책임을 돌려 개인배상을 연대한다고 생각해보시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혹자는 말합니다. 법제도가 미비한게 아니고 너무 좋은 매뉴얼들이 차고 넘치는데 따르지 않는 것이 문제라고. 저도 이 말에 동의합니다.건축법, 건설기술진흥법, 공사감리세부기준, 품질관리업무지침, 안전관련 법규, 점검 정말 차고 넘칩니다. 다들 과도하다고 여겼죠.


지하철이나 철도공사가 파업을 하기전 준법투쟁을 합니다. 업무 매뉴얼대로 기차를 운행한다는 건데 출퇴근하는 시민들은 난리가 납니다. 희한하지 않습니까? 법대로 한다는게 투쟁의 방식이 되는 것이 말입니다. 건설현장도 당분간(?) 준법, 매뉴얼대로 , 따박따박 검측하는 것이 주된 방식이 될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광주 아이파크의 철거 모습이 전국에 생중계 될때마다 오히려 더 강화될것입니다.


문제는 검측의 방식이 단순히 육안으로 보고 오케이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시공부위 설계도서를 미리 준비하고 첨부하여 검측요청서를 작성하고 이를 감리단에 송부하고, 감리단은 이걸 또 검토하고 완성이 됐다 싶으면 비로소 현장에서 대면하여 검사 후, 검측통보서를 시공사에 송부합니다. 검측완료 통보서를 받아야만 해 비로소 공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검측하고 있는 사진은을 촬영 다시 첨부하기도 합니다. 이 모든것이 하드카피로 순차적 프로세스로 이루어집니다. FM대로 하면 1박2일 걸린다는 이야기도 그래서 나오는 것입니다. 감리입장에서 공기가 늘어지든 말든 무슨 상관입니까 품질이, 안전이 자기자신의 안위가 더 중요한 것 아닙니까? 공기늦어진다 그러면 광주 아이파크 붕괴 보고도 그런 이야기 하냐고 하겠지요


검측전 하드카피 업무가 폭증할 수밖에 없습니다. 모든 것을 매뉴얼대로 차근차근 진행할 수밖에 없습니다. 문제는 이 모든것이 서류의 흐름으로 나타날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필연적으로 검측일정이 지연될수밖에 없는데 그건 누가 책임지느냐? 하드카피가 흘러가는 공사관리 방식 전반의 프로세스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합니다. 저는 감히 외칩니다. FM대로 매뉴얼대로 하면서 업무의 생산성을 올리기 위해서는 종이서류를 디지털로 대전환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디지털로 전환된 데이터는 현장의 업무생산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본사의 능동적 현장관리를 가능케 할것입니다. 발주자에게도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로 투명성과 신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야말로 스마트건설의 시대가 될 것입니다.


콘업이 디지털 전환의 선봉에 서겠습니다. 지금 대한민국에서 콘업만 외롭게 공사현장 검측과 관리 프로세스를 디지털로 전환하자고 외치고 있지만 저는 동지들이 생길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비슷한 솔루션들이 나올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렇게 디지털 생태계가 생겨야 합니다.







조회수 48회댓글 0개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