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보고서: 스마트 건설기술 시대, 건설현장 안전 및 품질 혁신을 위한 감리 디지털 전환 전략
- cmxblog
- 5월 23일
- 16분 분량
전략 보고서: 스마트 건설기술 시대, 건설현장 안전 및 품질 혁신을 위한 감리 디지털 전환 전략
I. 서론: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문제점
대한민국 건설산업은 국가 경제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질적인 문제들로 인해 사회적 비용과 불신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부실공사, 허위감리, 그리고 사망사고는 단순한 개별 현장의 문제를 넘어, 산업 전반의 시스템적 결함에서 비롯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 건설기술의 도입 노력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건설현장의 고질적 문제: 부실공사, 허위감리, 사망사고 현황
대한민국 건설현장에서 부실공사가 반복되는 근본적인 원인은 복합적이며 구조적입니다. 무리한 공사 기간 단축 압박, 유명무실한 감리 시스템, 다단계 하청 구조로 인한 책임 분산, 그리고 오랜 기간 묵인된 부패 문화가 주요 배경으로 지목됩니다.1 특히 주택 공급 정책과 규제 완화의 부작용은 부실 감리를 조장하고 최소한의 검토 절차마저 생략되도록 만들었다는 비판이 제기됩니다.1 실제 감리 인력이 건설사의 영향력 아래에 있거나, 서류상 감리만 진행되는 경우가 빈번하며, 심지어 감리사가 현장에 단 한 번도 방문하지 않은 채 공정 승인 도장을 찍는 사례까지 발생하여 감리 시스템의 독립성과 실효성이 크게 훼손되고 있습니다.1 이러한 시스템적 허점은 설계 결함, 시공 품질 미확보, 감리 기능 부실 등으로 이어져 건축물 붕괴 사고와 같은 인명 피해를 유발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2
건설현장의 사망사고 현황 또한 심각한 수준입니다. 최근 3년간 발생한 건설업 사망사고 분석 결과, '떨어짐' 사고가 전체의 50%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고, '깔림' 사고가 19%로 뒤를 이었습니다.3 사고 원인별로는 '관리적 요인'이 32%, '시공적 요인'이 24%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작업자의 단순 과실'도 18%에 달했습니다.4 주목할 점은 사고사망자의 다수가 민간공사 현장, 특히 50억 원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입니다. 전체 사망사고의 48%가 50억 원 미만 소형 사업장에서 발생하며, 사고사망자의 연령대는 50대 이상이 73%에 달하여 취약 계층과 소규모 현장의 안전 관리가 더욱 시급함을 보여줍니다.3
이러한 현상은 건설 현장의 부실공사, 허위감리, 사망사고가 단순히 개별 시공사나 작업자의 문제가 아니라, 감리 시스템의 유명무실화, 다단계 하청 구조, 부패 관행, 무리한 공기 단축 압박 등 근본적인 시스템 및 구조적 원인에 기인한다는 점을 명확히 합니다. 기술 도입만으로는 이러한 시스템적 허점이 그대로 남아있다면, 기술의 잠재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부실과 사고가 반복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는 기술은 도구일 뿐, 이를 둘러싼 제도와 문화가 개선되지 않으면 효과가 제한적임을 시사합니다. 특히 사망사고가 소규모 민간 현장과 고령 작업자에게 집중되어 있다는 점은,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 정책이 대형 프로젝트 중심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오히려 안전 관리가 취약한 소규모 현장과 고령 작업자에 대한 맞춤형 지원 및 기술 보급 전략이 절실함을 보여줍니다.
표 1: 대한민국 건설현장 주요 문제점 및 원인 요약
문제점 | 주요 원인 | 관련 자료 |
부실공사 | 무리한 공사 기간 단축 압박 | 1 |
감리 시스템의 유명무실화 | 1 | |
하청, 재하청 구조로 인한 책임 분산 | 1 | |
건설 관행과 묵인된 부패 문화 | 1 | |
주택 공급 정책과 규제 완화의 부작용 | 1 | |
설계 결함 및 시공 품질 미확보 | 2 | |
허위감리 | 감리 기능 부실 및 전문성 부족 | 2 |
수동식 검측 프로세스의 디지털 디커플링 | 5 | |
실시간 정보 공유 및 의사소통 부재 | 6 | |
다양하고 비표준화된 공사 관리 서식 | 9 | |
사망사고 | 소규모 사업장 사고 집중 및 고령 작업자 취약성 | 3 |
관리적 요인 및 작업자 단순 과실 | 3 |
BIM 및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의 현주소와 한계
정부는 건설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1,000억 원 이상 공공공사에 BIM 도입을 의무화하고, 스마트 건설기술 실증 사업 공모 및 스마트 건설안전 지원 시범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 도입을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11 이러한 정책들은 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과 안전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건설 분야 전문가들은 현재의 기술 개발 중심 정책이 '먼저 만들고 나중에 효용을 따지는 방식'에 머물러 있어 스마트 건설이 현장 혁신이 아닌 '쇼윈도 기술'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합니다.14 이는 기술이 현장의 실제 필요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은 대형 건설사와 중소기업 간의 기술 격차와 투자 여력 차이로 인해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기술 도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통합적인 '컨트롤 타워' 설치가 절실하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15
현장에서는 여전히 공사 관리 서식이 너무 다양하고 표준화가 어려워 디지털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큰 장애가 됩니다. 심지어 같은 건설사 내에서도 현장 소장에 따라 서식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어, 이러한 서식의 다양화와 개별화는 프로그램 개발을 어렵게 합니다.9 감리사마다 검측 서식이 각기 달라 연대 서명 시 어려움이 발생하며, 이러한 다양성과 복잡성으로 인해 건설 현장의 디지털 전환에서 공사 관리 부분이 제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9 기존 감리 업무는 수기식 작업에 의존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며, 건설현장에서의 실시간 정보 공유 및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습니다.10 BIM 기술이 발전하여 3D 모델링 데이터를 통해 현장 상황을 파악하고 검측을 자동화할 수 있는 잠재력은 분명히 존재하지만 16, 실제 현장 적용에는 여전히 수동 프로세스와의 단절이 존재합니다. 설계 도면이 자주 변경되고 최종 버전 공유가 제대로 되지 않아 재작업이 발생하는 문제는 디지털화된 설계 정보가 현장의 수동적이고 파편화된 검측 프로세스와 유기적으로 연동되지 못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9
이러한 현상은 BIM과 스마트 건설기술이 분명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도입 방식이 현장의 실제 업무 프로세스, 특히 감리와 검측의 '아날로그적' 특성을 간과하고 있어 기술의 잠재력이 현장에서 온전히 발휘되지 못하고 '디지털 디커플링'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술 자체의 문제가 아닌, 기술과 현장 프로세스 간의 통합 전략 부재에서 기인합니다. 기술은 존재하지만 그것이 현장의 핵심 업무인 '검측'과 '감리'에 실질적으로 통합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문제의 핵심입니다. 또한, 스마트 건설기술의 성공적인 현장 적용과 확산을 위해서는 기술 개발 중심의 접근을 넘어, 합리적인 발주 및 계약 제도, 표준화된 데이터 형식, 그리고 중소기업의 참여를 독려하는 정책적 뒷받침이 필수적입니다. 현재의 정책은 아직 이러한 통합적 관점이 부족하여 양극화 심화 등의 부작용을 낳고 있습니다.
II. 문제의 핵심: 수동식 검측 프로세스의 디지털 디커플링
건설 현장의 고질적인 문제들이 지속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바로 '수동식 검측 프로세스의 디지털 디커플링'에 있습니다. BIM과 같은 첨단 기술이 도입되어도, 현장에서의 핵심적인 감리와 검측 업무가 여전히 아날로그 방식에 머물러 있어, 전체 건설 프로세스의 디지털 전환이 단절되고 비효율을 야기합니다.
수기식 감리 및 문서화 방식의 비효율성과 정보 단절
건설 현장은 여전히 종이 서류 위주의 수기식 문서 작성에 크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현장 관계자들은 잦은 점검으로 인한 서류 정리로 업무 피로도가 높으며, 품질 서류를 수기로 작성하고 누락 부분이 있을 경우 쌓아둔 서류철을 전부 꺼내 손봐야 하는 등 과중한 업무 부담을 호소합니다.8 이러한 수기식 프로세스는 엄청난 시간과 노력을 소모하며, 특히 대규모 공동주택의 하자 점검 시 수천 장의 조사서를 수기로 작성하는 과정에서 수량 산정 오류, 정보 유실 등의 문제점을 야기합니다.5 최근 아파트 사전점검 시 마감 미비나 인변 발견 등은 현장 기사의 수동 프로세스가 대규모 결함 상황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본질적인 한계를 명확히 보여줍니다.7
감리 업무의 디지털 전환은 감리자가 더 중요한 업무에 집중하고 효율성과 객관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지만, 수기식 작업으로 인해 건설현장에서의 실시간 정보 공유 및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발생합니다.10 이러한 수기식 감리 및 문서화는 단순한 비효율성을 넘어, 현장 정보의 실시간성, 투명성, 객관성을 저해하여 부실공사 및 허위감리를 가능하게 하는 '아날로그 함정'을 만듭니다. 감리자가 현장에 방문하지 않고도 승인 도장을 찍는 사례가 발생한다는 점은 1, 수기식 체계가 감리의 '명목화(有名無實化)'를 가능하게 함을 보여줍니다. 디지털 기록이 없으면 현장 상황을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어렵고, 이는 곧 허위 보고나 책임 분산으로 이어지기 쉬워, 궁극적으로 부패 문화와 무사고주의를 조장하는 구조적 원인이 됩니다.
더 나아가, 공사 관리 서식이 너무 다양하고 표준화가 어렵다는 점은 건설 현장 데이터를 파편화된 '사일로'로 만듭니다.9 심지어 같은 건설사 내에서도 현장 소장에 따라 서식이 다르며, 감리사마다 검측 서식이 각기 달라 통합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어렵습니다.9 이러한 비표준화된 수기 기록은 각 현장, 각 감리사, 각 공종별로 분산되어 통합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결과적으로, 과거의 하자나 사고 사례로부터 학습하고 이를 미래 프로젝트에 반영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며, 이는 건설 산업 전반의 품질 및 안전 관리 역량 향상을 저해하는 근본적인 장애물로 작용합니다.
BIM 등 첨단기술과 수동 검측 간의 단절 현상 심층 분석
BIM은 설계 단계에서부터 3D 모델링을 통해 시공 현장을 스캔하고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류를 검측하는 등 자동화된 검측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집니다.16 모바일 BIM 기반 도구는 품질 관리 업무를 지원하고, 모델의 각 부재를 분리하여 품질 검측 대상을 쉽게 특정할 수 있게 합니다.16 통합 XR 건설 현장 업무 지원 시스템은 BIM, 3D 스캐닝, XR 기술을 활용하여 실측 데이터와 BIM 모델링 데이터를 통합하고, 이를 통해 현장 상황에 대한 3D 데이터를 완성하여 DB 서버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공 오류 체크, 원격 협의, 검측 요청 및 결재 등 전 과정의 디지털화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18
그러나 이러한 첨단 기술의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건설 현장에서는 여전히 설계 도면이 자주 변경되고 최종 버전 공유가 제대로 되지 않아 재작업이 발생하는 문제가 빈번합니다.9 이는 디지털화된 설계 정보가 현장의 수동적이고 파편화된 검측 프로세스와 유기적으로 연동되지 못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BIM과 같은 첨단 기술은 건설 프로세스의 일부를 디지털화하지만, 현장 검측과 감리라는 핵심 단계가 여전히 수동으로 이루어지면서, 디지털화된 영역과 아날로그 영역이 서로 단절된 '디지털 섬'처럼 존재합니다. 이는 데이터의 흐름을 끊고, 실시간 피드백 루프를 방해하여 기술 도입의 실질적인 효과를 상쇄시킵니다.
이러한 BIM과 수동 검측 간의 단절은 현장 상황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 확보를 어렵게 하고, 이는 곧 문제 발생 시 신속한 의사결정과 대응을 지연시켜 부실공사 및 안전사고의 위험을 증대시킵니다. 기존 감리 업무가 수기식에 의존하여 "실시간 정보 공유와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은 10, 현장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실시간으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고, 관련 이해관계자들이 즉각적으로 협의하여 해결책을 찾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의사결정 지연은 작은 문제가 큰 부실이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합니다.
III. 해법 제안: 감리앱 '아키엠'을 통한 건설현장 디지털 전환
건설 현장의 고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디지털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핵심적인 해법은 바로 '아키엠(Archiem)'과 같은 스마트 감리앱의 전면적인 도입입니다. 아키엠은 현장 중심의 디지털화를 통해 기존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건설 프로젝트의 품질, 안전,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키엠'의 주요 기능 및 혁신성
'아키엠(Architect Mobile)'은 건축사 전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건설 현장의 감리 행위와 사무실 문서 작업을 실시간으로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20 이는 현장에서의 업무와 사무실에서의 문서화 작업 간의 단절을 해소하는 핵심적인 기능입니다.
아키엠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장직결형 실시간 문서작성: 원터치 촬영으로 공사 사진대지를 자동 작성하고, 사진 마크업 기능을 통해 상세한 설명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20 이 모든 기록은 즉시 카카오톡, 문자 등 SNS로 공유가 가능하며, 사무실에서는 PC로 다운로드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20
도면 기반 시공위치 표시 및 마크업: CAD 및 PDF 도면을 앱으로 불러와 시공 위치를 핀으로 정확히 표시하고, 현장 마감 상태 및 시공 상태를 실시간으로 도면과 비교하며 확인할 수 있습니다.20 이는 종이 도면을 들고 다니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현장과 설계 간의 일치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스마트 체크리스트 및 디지털 서명: 건축공사감리세부기준에 따른 공종별, 단계별 체크리스트가 내장되어 있어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시공자와 감리자 서명까지 모바일로 완료할 수 있습니다.21 이는 감리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책임 범위를 명확히 합니다.
100% 클라우드 시스템: 모든 데이터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24시간 365일 무중단 서비스를 보장하며, 모바일 미리보기와 PC 다운로드를 지원하여 현장과 사무실 간의 연동을 강화합니다.21
모바일 투 모바일 스마트 협업: 특히, '콘업' 플랫폼에 구현된 '스마트 협업' 기능은 시공자와 감리자가 동일 플랫폼을 사용하며 정보를 공유하고 검측 정보를 모바일 투 모바일로 교환할 수 있게 합니다.6 이는 전 세계적으로 처음 개발된 혁신적인 기능으로, 정보 비대칭을 해소하고 실시간 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생성형 AI 공사문서 자동생성: 공사일지, 감리일지, 기술인일지 등 정형화된 문서를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자동 생성함으로써, 수동 문서 작업의 비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현장 담당자의 행정 업무 부담을 대폭 축소합니다.23




아키엠은 전국 3,000 건축사를 유료 사용자로 확보했으며, 대한건축사협회와 공사감리 디지털화 지원 협약을 체결한 유일한 어플리케이션으로, 그 실용성과 효용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7 아키엠은 건설 현장의 가장 핵심적인 '라스트 마일'인 현장 감리 및 검측 프로세스를 모바일 기반으로 디지털화함으로써, 기존 BIM이나 스마트 건설기술이 현장까지 온전히 연결되지 못했던 '디지털 디커플링' 문제를 직접적으로 해소합니다. 현장에서의 데이터 생성과 문서화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디지털 정보가 현장에서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흐르도록 하여 '디지털 디커플링'을 해결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시공자와 감리자가 동일한 플랫폼에서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검측 데이터를 교환하는 아키엠의 '스마트 협업' 기능은, 건설 현장의 투명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부실공사 및 허위감리의 근본 원인이었던 책임 분산과 정보 비대칭 문제를 해결합니다.
'아키엠' 도입을 통한 기대 효과
아키엠 도입은 건설 현장의 업무 효율성, 품질 관리, 안전 관리 측면에서 전방위적인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업무 효율성 및 생산성 획기적 향상
아키엠 도입 시 문서 작업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됩니다. 구체적으로 공사일보 작성 67% 단축, 검측 서류 작성 52% 단축, 검측 동영상 캡션 90% 단축, 공사 사진첩 작성 86% 단축 등의 효과를 가져와 현장 담당자의 행정 업무 부담을 대폭 축소합니다.23 이는 인적 오류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향상시킵니다.23 모든 디바이스에서 사용 가능하며, 의사결정이 빠르게 이루어져 공기 압박을 덜 수 있습니다.22 과거 수기 방식에서 1개월 걸리던 하자 내역서 작성이 2~3일로 단축되는 등 조사 및 정리 기간이 대폭 줄어드는 실제 효과를 보였습니다.6
이러한 문서 작업 시간의 획기적 단축은 단순한 비용 절감을 넘어, 감리자와 현장 관리자가 과도한 행정 업무에서 벗어나 본연의 핵심 업무인 품질 관리와 안전 관리에 더욱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현장 관계자들이 서류 정리로 인한 업무 피로도를 호소하며 본업무에 차질이 생긴다고 지적했던 문제 8를 해결함으로써, 감리자와 현장 관리자는 서류 작업에 소모되던 시간을 현장 순찰, 위험 요소 점검, 작업자 교육 등 실제 안전 및 품질 관리 활동에 더 많이 할애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곧 현장의 실질적인 안전과 품질 향상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듭니다. 또한, 분산된 현장 데이터를 중앙화하고 실시간으로 분석 가능한 형태로 전환함으로써, 건설 행정은 수동적이고 사후적인 대응에서 벗어나 능동적이고 예측 가능한 관리 체계로 진화할 수 있습니다.23 이는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부실공사 및 허위감리 근절 방안
아키엠을 통한 디지털 감리 시스템은 수기식 감리 체계의 한계였던 부실감리와 허위보고서 문제를 디지털 전환을 통해 극복할 수 있습니다.7 아키엠은 현장 사진, 시공 위치, 감리 일지, 체크리스트 등 모든 감리 업무를 디지털화하여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공유함으로써, 감리 업무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확보합니다.7 시공자와 감리자가 동일 플랫폼에서 검측 정보를 모바일 투 모바일로 교환하는 '스마트 협업' 기능은 정보 비대칭을 해소하고 책임 범위를 명확히 하여 허위 감리를 원천적으로 방지합니다.6 디지털 기록은 조작이 어렵고 추적이 용이하여, 자료 제출 거부나 허위 자료 제출 등 위법 행위에 대한 감시 및 적발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24
아키엠이 제공하는 실시간 디지털 기록(사진, 위치, 서명, 체크리스트)은 현장 활동에 대한 명확하고 조작 불가능한 증거를 생성하여, 부실 시공이나 허위 감리를 시도하려는 주체들에게 강력한 심리적 억제 효과를 발휘합니다. 감리사가 현장에 방문하지 않고 도장을 찍는 행태가 가능했던 것은 기록의 불투명성 때문이었습니다.1 아키엠은 이러한 불투명성을 제거하고 명확한 디지털 증거를 남김으로써, 부실이나 허위를 시도할 경우 즉시 발각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어 강력한 억제 효과를 창출합니다. 또한, 아키엠을 통한 실시간 협업 및 검측은 문제가 발생한 후 사후적으로 감사하고 처벌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시공 과정 중 실시간으로 문제를 발견하고 즉시 개선하는 사전 예방적 품질 관리 체계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과거처럼 문제가 누적되어 대규모 부실로 이어지기 전에, 초기 단계에서 결함을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건설 품질을 향상시키고 부실공사를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건설현장 사망사고 감소 및 안전 관리 강화
아키엠을 통한 디지털 감리 시스템은 현장 안전 관리의 내실화를 지원하고, 스마트 안전기술 보급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13 실시간으로 기록되는 공사일지, 감리일지, 기술인일지 등은 안전 관리자가 현장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위험 요소를 식별하는 데 필수적인 데이터를 제공합니다.23 이는 건설 현장 사망사고의 주요 원인인 '관리적 요인'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며, 특히 소규모 현장의 안전 관리 취약점을 보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3
아키엠을 통해 축적되는 정량적이고 일관된 현장 데이터는 안전 관리자가 직관과 경험에 의존하는 것을 넘어, 데이터 기반으로 잠재적 위험을 분석하고 선제적인 안전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사망사고 감소에 기여합니다. 사망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관리적 요인'과 '작업자의 단순 과실'이 지적된 바 있습니다.3 아키엠의 스마트 체크리스트 21와 공사일지 자동 작성 23 기능은 안전 관련 점검 사항, 현장 특이 사항 등을 디지털화된 형태로 기록하게 합니다. 이러한 데이터가 충분히 축적되면, 특정 공종, 특정 작업 환경, 특정 시간대에 사고 위험이 높아지는 패턴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안전 관리자가 과거의 경험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위험 경보 장치 25나 AI CCTV 26와 같은 스마트 안전 장비의 설치 위치를 최적화하며, 맞춤형 안전 교육을 제공하는 등 선제적이고 과학적인 안전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아키엠은 단순한 감리 앱을 넘어, 건설 현장의 다양한 스마트 안전 장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통합하고 관리하는 중앙 플랫폼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파편화된 안전 관리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동하고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집니다. AI CCTV, 충돌 협착 방지 장치, 스마트 에어백 조끼, 웨어러블 카메라 등 다양한 스마트 안전 장비의 도입 사례가 존재하지만 25, 이들이 개별적으로 운영될 경우 데이터의 통합과 효율적인 관리가 어렵습니다. 아키엠의 100% 클라우드 시스템과 실시간 데이터 공유 기능 21은 이러한 개별 안전 장비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이는 안전 관리자가 여러 시스템을 따로 확인하는 대신, 아키엠을 통해 현장의 품질 및 안전 현황을 한눈에 파악하고, 위험 상황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전반적인 안전 관리 역량을 강화합니다.
표 2: '아키엠' 주요 기능 및 기대 효과
주요 기능 | 기대 효과 |
현장직결형 실시간 문서작성 | 업무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 공사일보, 검측 서류, 사진첩 등 문서 작성 시간 획기적 단축 (최대 90% 단축).6 인적 오류 방지 및 데이터 일관성 확보. 실시간 공유, 검색 및 분석 가능. 빠른 의사결정 및 공기 압박 완화.22 |
공사사진 및 사진대지 자동 작성 | 부실공사 및 허위감리 근절: 현장 활동에 대한 명확하고 조작 불가능한 디지털 증거 생성. 감리 업무의 객관성 및 투명성 확보.7 |
도면 기반 시공위치 표시 및 마크업 | 부실공사 및 허위감리 근절: 설계와 시공 간의 불일치 즉시 확인 및 기록. 책임 범위 명확화.20 |
스마트 체크리스트 및 디지털 서명 | 부실공사 및 허위감리 근절: 공정별 점검 사항의 체계적 기록 및 디지털 서명을 통한 책임 강화. 허위 감리 원천 방지.21 |
100% 클라우드 시스템 | 업무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 분산 데이터 중앙화 및 실시간 접근성 보장. 능동적 의사결정 지원.21 |
모바일 투 모바일 스마트 협업 | 부실공사 및 허위감리 근절: 시공자와 감리자 간 투명한 정보 공유 및 실시간 검측 데이터 교환. 정보 비대칭 해소 및 책임 분산 문제 해결.6 |
생성형 AI 공사문서 자동생성 | 업무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 현장 담당자의 행정 업무 부담 대폭 축소. 인적 오류 가능성 최소화 및 정확성 향상.23 |
통합 안전 플랫폼으로서의 확장성 | 건설현장 사망사고 감소 및 안전 관리 강화: 다양한 스마트 안전 장비(AI CCTV, 경보 장치 등) 데이터 통합 관리 기반 마련. 데이터 기반의 선제적 안전 관리 및 위험 예측.25 |
IV. 전략적 통찰: 음주운전 단속 성공 사례에서 배우는 건설 감리 혁신
건설 현장의 감리 시스템 혁신을 위한 전략적 통찰은 음주운전 단속의 디지털화 성공 사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두 분야는 서로 다른 영역이지만, '규제 준수 강화를 위한 감시-기록-처벌의 디지털화'라는 핵심 원리에서 유사한 성공 모델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음주운전 단속 디지털화 성공 사례 분석
음주운전 단속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과거에는 경찰의 불시 검문과 육안 확인, 음주 측정기에 의존했으나, 이는 인적 단속의 한계와 상습 위반 문제에 직면했습니다.28 경찰의 부재 시 음주운전 시도가 증가하는 등 감시의 공백이 발생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가 운전자의 얼굴을 분석하여 음주 여부를 파악하고,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표정, 시선 방향, 머리 위치 등 얼굴 특징을 분석하여 음주 상태를 감지하는 기술이 등장했습니다.29 이 시스템은 3단계 분류에서 75%의 정확도를 보이며, 기존 인프라를 활용하여 음주운전 감소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29 이러한 디지털화는 비대면/연속적 감시, 객관적인 데이터 기록, 그리고 강화된 처벌과의 연계를 통해 음주운전이라는 고질적인 문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습니다.
음주운전 단속의 성공은 인간의 개입 없이도 24시간 365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디지털 시스템의 능력이, 위반 행위에 대한 '발각 확률'을 획기적으로 높여 강력한 억제 효과를 발휘했음을 보여줍니다. 과거에는 경찰이 없으면 음주운전을 할 가능성이 높았지만, 디지털 시스템은 상시적으로 존재하며, 이는 운전자에게 '언제든 적발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어 자발적인 법규 준수를 유도합니다.
건설현장 감리 프로세스에의 적용 가능성 및 시사점: '감시-기록-처벌'의 디지털화 모델
건설 현장의 부실공사, 허위감리, 사망사고는 감시의 사각지대, 기록의 불투명성, 처벌의 어려움으로 인해 '감시-기록-처벌'이라는 기본 원칙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합니다.1 음주운전 단속의 성공 사례는 건설 현장 감리 프로세스에 다음과 같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감시의 디지털화: 음주운전 단속에서 도로 카메라가 상시 감시 역할을 하듯이, 아키엠과 같은 스마트 감리앱을 통해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사진, 동영상, 체크리스트 등으로 기록하고 위치 정보를 연동함으로써, 감리자의 현장 방문 여부와 관계없이 지속적이고 객관적인 감시가 가능해집니다.20 이는 '감리 시스템의 유명무실화' 문제를 해결하고 1, 현장 감시의 공백을 메울 수 있습니다.
기록의 투명화 및 중앙화: 음주운전 단속 카메라가 운전자의 음주 행위를 객관적인 데이터로 기록하듯이, 아키엠은 모든 검측 및 감리 활동 기록을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에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시공자와 감리자가 공유하는 '스마트 협업' 시스템을 통해 정보의 위변조를 어렵게 하고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합니다.6 이는 '허위감리'와 '책임 분산'을 근절하는 핵심적인 요소입니다.1
처벌의 효율화: 음주운전 단속에서 디지털 증거가 처벌의 강력한 근거가 되듯이, 아키엠을 통해 확보된 디지털화된 명확한 증거(사진, 동영상, 서명, 타임스탬프 등)는 부실 시공이나 허위 감리 등 위법 행위 발생 시 법적 처벌을 위한 증거 확보를 용이하게 하여, 처벌의 실효성을 높이고 강력한 억제 효과를 발휘합니다.24
음주운전 단속의 성공에서 보듯이, 건설 현장에 디지털 감시 및 기록 시스템(아키엠)을 도입하는 것은 단순히 업무 효율을 높이는 것을 넘어, '원래 그렇게 해왔어요'라는 부패 관행 1을 깨고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현장 문화를 조성하는 강력한 동기가 됩니다. 아키엠을 통해 모든 감리 및 시공 과정이 실시간으로 디지털 기록되고 공유된다면 6, 현장 관계자들은 부실 시공이나 허위 보고를 시도할 경우 즉시 발각될 수 있다는 압박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는 '묵인된 부패 문화'를 깨고, 투명성과 책임감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현장 문화를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또한, 음주운전 단속에서 AI가 운전자 패턴을 학습하여 위험을 감지하듯이 29, 건설 현장에서도 아키엠을 통해 축적되는 방대한 디지털 데이터는 특정 공종, 작업자, 환경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선제적인 안전 및 품질 관리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아키엠은 공사 사진, 체크리스트, 감리 일지 등 현장의 다양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중앙화합니다.21 이러한 데이터가 충분히 축적되면, 특정 유형의 사고(예: '떨어짐' 사고 3)가 자주 발생하는 공종, 작업 시간, 혹은 특정 작업자 그룹의 패턴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AI 기반의 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위험이 높은 현장이나 작업에 대해 미리 경고하거나, 추가적인 안전 조치를 의무화하는 등 사후 대응이 아닌 사전 예방 중심의 안전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표 3: 음주운전 단속 디지털화와 건설 감리 디지털화 비교
항목 | 음주운전 단속 | 건설 감리 |
문제점 | 인적 단속의 한계, 상습 위반, 사고 증가 28 | 유명무실한 감리, 허위 보고, 부실공사, 사망사고 지속 1 |
기존 방식 | 불시 검문, 육안 확인, 음주 측정기 | 수기식 서류 작성, 불시 현장 방문, 제한적 정보 공유 5 |
디지털 솔루션 | 도로 카메라 기반 운전자 얼굴/패턴 분석, AI 학습 29 | 아키엠 감리앱 (실시간 문서/사진/체크리스트, 모바일 협업, 클라우드) 6 |
핵심 성공 요인 | 비대면/연속적 감시, 객관적 데이터 기록, 강력한 처벌 연계 | 현장 데이터의 실시간 디지털화, 시공-감리 간 투명한 정보 공유, 책임 소재 명확화 |
건설 감리 적용 시사점 | 상시 감시를 통한 부실/허위 행위 억제, 데이터 기반 증거 확보 | 디지털 증거 기반의 감리 신뢰성 제고, 부실/허위 감리 근절, 안전 관리의 예측 가능성 향상 |
V. 정책 제언 및 추진 방안
건설 현장의 고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감리앱 '아키엠'과 같은 스마트 감리 시스템의 전면적인 도입이 필수적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국토교통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선도적인 역할과 함께, 제도적 기반 마련, 재정 및 기술 지원 확대, 교육 및 전문 인력 양성, 그리고 민관 협력 체계 구축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국토교통부 및 지자체의 선도적 역할 강화
국토교통부는 이미 스마트 건설기술 실증 사업 및 스마트 건설안전 지원 시범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 도입을 지원하고 있으며 12, 1,000억 원 이상 공공공사에 BIM 도입을 의무화하는 등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있습니다.11 이러한 선도적 역할을 더욱 강화하여, 스마트 감리앱 도입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고 민간 확산을 유도해야 합니다.11 현재의 시범사업 단계를 넘어, 스마트 감리 시스템의 의무화 로드맵을 명확히 제시하고, 단계별 이행 목표를 수립하여 전환을 가속화해야 합니다. 특히, 공공 발주 사업에서 스마트 감리앱 활용을 의무화하고, 그 성과를 평가하여 민간 부문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기술 도입을 넘어, 현장 중심의 디지털 전환을 이루기 위한 강력한 정책 의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제도적 기반 마련 및 법규 개선
스마트 감리 시스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현행 법규 및 제도의 개선이 필수적입니다.
용어 및 업무 범위 표준화: '감리'와 '건설사업관리' 등 관련 용어의 불일치와 업무 범위의 모호함은 현장의 혼란을 야기하고 있습니다.10 건축감리, 시공감리, 구조감리 등 전문 분야별로 감리 업무를 명확히 정의하고 세분화하여 법규에 반영해야 합니다.10
디지털 문서화 의무화: 대규모 또는 특수 구조물에 대한 사진 및 비디오 문서화 의무를 모든 건축물로 확대하고, 이를 단순한 정보 디지털화를 넘어 AI 분석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전환' 단계로 발전시키도록 유도해야 합니다.10 관련 법규에서 '사진 및 비디오' 대신 '디지털 데이터'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보다 포괄적인 디지털 기술 활용을 장려해야 합니다.10
감리자 역량 강화 및 평가 기준 개선: 감리자의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 과정을 신설하고, 감리자 선정 및 평가 시 디지털 전환 기술 도입 및 활용 실적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안을 도입해야 합니다.10
전문성 강화: 골조 공사와 같이 붕괴 위험이 높은 구조 시스템에 대해서는 건축물의 규모와 관계없이 구조 기술 전문가의 감리 협력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이를 위한 별도의 구조 감리 체크리스트를 마련해야 합니다.10 이러한 법적, 제도적 개선은 기술 도입을 뒷받침하고, 건설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재정 및 기술 지원 확대
스마트 감리 시스템 도입의 초기 투자 비용은 특히 중소기업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재정 지원: 국토교통부의 '스마트 건설안전 지원 시범사업'과 같이, 안전 관리가 취약한 중소규모 건설 현장을 대상으로 스마트 감리앱 도입 및 운영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을 확대해야 합니다.13 장비 및 소프트웨어 구매, 교육 훈련 비용 등에 대한 보조금 또는 세제 혜택을 제공하여 도입 장벽을 낮춰야 합니다.
기술 표준화 및 연동: 다양한 스마트 건설기술(BIM, IoT, AI, 드론 등)과 스마트 감리앱이 상호 연동될 수 있는 표준화된 데이터 교환 플랫폼을 구축해야 합니다.18 이는 데이터의 통합적 관리와 활용을 가능하게 하여 시스템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R&D 지원: 감리앱을 통해 축적되는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부실 징후 예측, 안전 위험 분석 등 AI 기반의 고급 분석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해야 합니다.30 이는 데이터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건설 현장의 예측 및 예방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교육 및 전문 인력 양성
디지털 기술 도입의 성공은 결국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인력에 달려 있습니다.
현장 교육 강화: 감리자, 현장 관리자 등 건설 현장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 감리앱 사용법, 디지털 데이터 관리 및 활용에 대한 의무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정기적인 보수 교육을 통해 최신 기술 습득을 지원해야 합니다.10
교육 과정 개편: 건축 및 건설 관련 학과에서 스마트 건설기술 및 디지털 감리 교육을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여, 미래 건설 인력들이 디지털 환경에 능숙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10 이러한 인력 양성 노력은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한 핵심 동력이 될 것입니다.
민관 협력 체계 구축
건설 산업의 디지털 전환은 정부만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협의체 구성: 국토교통부 주도로 건설사, 건축사, IT 개발사, 학계, 노동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스마트 건설 협의체'를 구성하여, 정책 수립 및 기술 개발 과정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11
시범사업 및 기술 검증: 민간 기업이 개발한 스마트 기술을 공공 현장에서 자유롭게 실증하고 성능을 검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마트 건설 기술 실증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성공 사례를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민간 확산을 유도해야 합니다.12 이러한 민관 협력은 실질적인 솔루션을 도출하고, 산업 전반의 자발적인 참여와 수용을 이끌어내는 데 필수적입니다.
결론
대한민국 건설산업이 직면한 부실공사, 허위감리, 사망사고라는 고질적인 문제들은 BIM 및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에도 불구하고 '수동식 검측 프로세스의 디지털 디커플링'이라는 근본적인 한계로 인해 지속되어 왔습니다. 현장의 수기식 문서화와 정보 단절은 감시의 사각지대, 기록의 불투명성, 책임 소재의 모호함을 야기하며, 이는 결국 부패 관행과 안전사고를 조장하는 구조적 원인이 됩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전략적 해법으로 감리앱 '아키엠'의 전면적인 도입을 제안합니다. 아키엠은 현장 감리 및 검측 프로세스를 모바일 기반으로 실시간 디지털화함으로써, 기존 첨단 기술과 현장 간의 단절을 해소하고 '라스트 마일' 디지털화를 완성합니다. 원터치 사진대지 자동 작성, 도면 기반 시공위치 표시, 스마트 체크리스트 및 디지털 서명, 그리고 시공자와 감리자 간의 '모바일 투 모바일' 스마트 협업 기능은 건설 현장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획기적으로 강화합니다. 또한, 생성형 AI를 통한 문서 자동화는 현장 담당자의 행정 부담을 경감하고, 핵심 업무인 품질 및 안전 관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음주운전 단속의 디지털화 성공 사례는 건설 감리 혁신의 강력한 모델을 제시합니다. 상시적인 디지털 감시와 객관적인 기록,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명확한 책임 추궁은 '언제든 적발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어 부실 및 허위 행위를 강력하게 억제합니다. 아키엠을 통해 축적되는 방대한 현장 데이터는 과거의 경험칙을 넘어 데이터 기반의 예측 및 예방 시스템을 구축하여, 잠재적 위험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아키엠과 같은 스마트 감리 시스템의 도입은 단순한 기술적 진보를 넘어, 건설 현장의 고질적인 관행을 혁신하고,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문화를 정착시키며, 대한민국 건설산업의 품질과 안전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국토교통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이러한 디지털 전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선도적인 정책 추진, 제도적 기반 마련, 재정 및 기술 지원 확대, 전문 인력 양성, 그리고 민관 협력 강화를 통해 안전하고 신뢰받는 건설 환경을 조성하는 데 적극 나서야 합니다.
참고 자료
5가지 원인으로 살펴보는 대한민국 부실공사의 진짜 이유 -,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freesenseblog.com/5%EA%B0%80%EC%A7%80-%EC%9B%90%EC%9D%B8%EC%9C%BC%EB%A1%9C-%EC%82%B4%ED%8E%B4%EB%B3%B4%EB%8A%94-%EB%8C%80%ED%95%9C%EB%AF%BC%EA%B5%AD-%EB%B6%80%EC%8B%A4%EA%B3%B5%EC%82%AC%EC%9D%98-%EC%A7%84%EC%A7%9C/
20231006) 건축물 부실공사의 원인 및 개선과제,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nars.go.kr/fileDownload2.do?doc_id=1OhopGEBoJm&fileName=(%EC%9D%B4%EC%8A%88%EC%99%80%EB%85%BC%EC%A0%90%202147%ED%98%B8-20231006)%EA%B1%B4%EC%B6%95%EB%AC%BC%20%EB%B6%80%EC%8B%A4%EA%B3%B5%EC%82%AC%EC%9D%98%20%EC%9B%90%EC%9D%B8%20%EB%B0%8F%20%EA%B0%9C%EC%84%A0%EA%B3%BC%EC%A0%9C.pdf
CSI 자료를 활용한 국내 건설업 사망사고 심층분석,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cerik.re.kr/uploads/report/2794/CSI%20%EC%9E%90%EB%A3%8C%EB%A5%BC%20%ED%99%9C%EC%9A%A9%ED%95%9C%20%EA%B5%AD%EB%82%B4%20%EA%B1%B4%EC%84%A4%EC%97%85%20%EC%82%AC%EB%A7%9D%EC%82%AC%EA%B3%A0%20%EC%8B%AC%EC%B8%B5%EB%B6%84%EC%84%9D.pdf
건설현장 안전사고 현황과 원인 및 대응방안 - 산업의역군,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sankun.com/blog/detail/337_%EA%B1%B4%EC%84%A4%ED%98%84%EC%9E%A5_%EC%95%88%EC%A0%84%EC%82%AC%EA%B3%A0_%ED%98%84%ED%99%A9%EA%B3%BC_%EC%9B%90%EC%9D%B8_%EB%B0%8F_%EB%8C%80%EC%9D%91%EB%B0%A9%EC%95%88
아키엠 스토리 - 콘업 AI 공사관리,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conup.co.kr/post/%EB%AC%B8%EC%A0%9C%EB%8A%94-%EC%88%98%EA%B8%B0%EC%8B%9D-%EC%84%9C%EB%A5%98-%EC%9E%91%EC%84%B1
“건설 디지털 전환의 핵심은 수기식 하드카피의 전자문서화”,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conup.co.kr/post/%EA%B1%B4%EC%84%A4-%EB%94%94%EC%A7%80%ED%84%B8-%EC%A0%84%ED%99%98%EC%9D%98-%ED%95%B5%EC%8B%AC%EC%9D%80-%EC%88%98%EA%B8%B0%EC%8B%9D-%ED%95%98%EB%93%9C%EC%B9%B4%ED%94%BC%EC%9D%98-%EC%A0%84%EC%9E%90%EB%AC%B8%EC%84%9C%ED%99%94
“아직도 수기로 서류 작성” 건설현장, 서류업무 과중…공사 차질 초래 - 위클리서울,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weeklyseoul.net/news/articleView.html?idxno=81122
제2장 공사관리 프로세스의 디지털화,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conup.co.kr/post/%EC%A0%9C2%EC%9E%A5-%EA%B3%B5%EC%82%AC%EA%B4%80%EB%A6%AC-%ED%94%84%EB%A1%9C%EC%84%B8%EC%8A%A4%EC%9D%98-%EB%94%94%EC%A7%80%ED%84%B8%ED%99%94
www.koreascience.kr,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koreascience.kr/article/JAKO202417776482888.pdf
스마트 건설 활성화 방안[국토교통부] 공유,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sisul.or.kr/open_content/opensquare/bbs/bbsMsgFileDown.do;jsessionid=baD9zFAHfjMyoXuek3wdxxFomBkjjd2HaDW0dsnG6ijXKjj9nx0Rn2Ds0BPM0usX.etisw2_servlet_user?bcd=rnd_data&msg_seq=16&fileno=1
[도시정비뉴스] 국토부, 스마트건설 기술실증 사업 공모...중기 지원 확대,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m.dosijeongbi.com/a.html?uid=8193
국토부, 첨단 안전기술 확산·촉진 위한 “스마트 건설안전 지원 시범사업 ...,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smartcity.go.kr/2022/06/27/%EA%B5%AD%ED%86%A0%EB%B6%80-%EC%B2%A8%EB%8B%A8-%EC%95%88%EC%A0%84%EA%B8%B0%EC%88%A0-%ED%99%95%EC%82%B0%C2%B7%EC%B4%89%EC%A7%84-%EC%9C%84%ED%95%9C-%EC%8A%A4%EB%A7%88%ED%8A%B8-%EA%B1%B4/
'스마트건설 = 효율?' 아직 갈 길 멀어…관리 기술만 남고 생산성은 뒷전 - 녹색경제신문,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greened.kr/news/articleView.html?idxno=325610
“스마트 건설 도입, 대형-중소기업 양극화 심화… 컨트롤타워 설치 절실” - 이투데이,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etoday.co.kr/news/view/2412633
모바일 BIM기반 현장 감리업무 지원도구,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best-technology.co.kr/file/thesis/188/file_1/%EB%AA%A8%EB%B0%94%EC%9D%BC%20BIM%EA%B8%B0%EB%B0%98%20%ED%98%84%EC%9E%A5%20%EA%B0%90%EB%A6%AC%EC%97%85%EB%AC%B4%20%EC%A7%80%EC%9B%90%EB%8F%84%EA%B5%AC%20-%20%ED%92%88%EC%A7%88%EA%B4%80%EB%A6%AC%EC%97%85%EB%AC%B4%EB%A5%BC%20%EC%A4%91%EC%8B%AC%EC%9C%BC%EB%A1%9C%20-.pdf
스마트 건설에서 BIM과 포인트 클라우드 활용 방안 - 에스코어,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s-core.co.kr/insight/view/%EC%8A%A4%EB%A7%88%ED%8A%B8-%EA%B1%B4%EC%84%A4%EC%97%90%EC%84%9C-bim%EA%B3%BC-%ED%8F%AC%EC%9D%B8%ED%8A%B8-%ED%81%B4%EB%9D%BC%EC%9A%B0%EB%93%9C-%ED%99%9C%EC%9A%A9-%EB%B0%A9%EC%95%88/
journal.dcs.or.kr,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journal.dcs.or.kr/xml/22742/22742.pdf
건설 엔지니어링 디지털 전환에서 디지털 트윈 기술의 필수적 역할 - Beamo,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beamo.ai/ko/blog/the-essential-role-of-digital-twin-technology-in-the-digital-transformation-of-construction-engineering
너무나 편한 디지털 감리앱 꼭 써보세요! (아키엠, 콘업) - YouTube,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qKmvOx9EZX0
스마트감리앱 아키엠과 건축캐드 ZWCAD의 2019 공동 프로모션 진행! - Naver Blog,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zwcadtech/221211792995?viewType=pc
건설 현장의 디지털전환을 선도하다건설 협업 플랫폼 기업 '씨엠엑스' - HL 디앤아이한라 웹진,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ebzine.hldni.com/?p=14307
콘업 AI 공사관리,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conup.co.kr/
금감원, 자료제출 거부 기업에 과징금 35억원 폭탄 - 프라임경제,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m.newsprime.co.kr/section_view.html?no=688125&menu=1
건설현장 스마트 안전장비 현황 및 사례 등,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molit.go.kr/LCMS/DWN.jsp?fold=/pcmo0401/&fileName=3.%EA%B1%B4%EC%84%A4%ED%98%84%EC%9E%A5+%EC%8A%A4%EB%A7%88%ED%8A%B8+%EC%95%88%EC%A0%84%EC%9E%A5%EB%B9%84+%ED%98%84%ED%99%A9+%EB%B0%8F+%EC%82%AC%EB%A1%80+%EB%93%B1.pdf
[핫클립] 건설 품질을 건축하는 스마트 감리 시스템 / YTN 사이언스 ...,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OYcqlQEU65w
건설 현장 안전사고 예방... '스마트 안전지킴이'로 빠르고 편리하게 - 보안뉴스,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15488
[모빌리티 인사이트] 스스로 음주운전을 단속하는 자동차? - 동아일보,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220927/115673704/1
“운전자들 벌금 대잔치!” 단속 카메라 기술, 경악할 수밖에 없네 : 네이버 블로그,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carderra/223717812525
2022년 디지털 기반 건축시공 및 안전감리 기술개발 사업 시행 ... - IRIS, 5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iris.go.kr/contents/retrieveBsnsAncmView.do?ancmId=000448&bsnsYyDetail=2022&sorgnBsnsCd=S000282&bsnsAncmSn=2&chngRcveDeFro=2022/02/16&chngRcveDeTo=2022/02/2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