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건설 산업은 빠르게 디지털화되고 있습니다. 디지털의 물결은 중소형 건설사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중소현장을 운영하는 건설사에게는 디지털 전환을 통해 제한된 인력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를 통해 중소형 건설사의 현장기사를 위한 디지털 관리툴 「콘업 코파일럿」 도입 효과와 성공적인 도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2. 수동식 공사서류 관리의 문제점
공사서류 작성의 관점에서 보면 중소형 건설사의 현장기사는 검측 및 서류 작성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오류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품질 및 안전 서류 작성, 사진 관리 등의 업무는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현장기사의 업무 부담을 가중시키고 효율성을 저해합니다. 구체적인 문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20829f_bd402f0a0fbe420fb28888305e6f317b~mv2.jpg/v1/fill/w_980,h_551,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20829f_bd402f0a0fbe420fb28888305e6f317b~mv2.jpg)
낮은 효율성: 종이 서류는 검색, 공유, 수정, 보관 등의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특히,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의 경우 방대한 양의 서류가 생성되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관계자들이 동시에 정보를 열람하고 수정하기 어려워 의사소통 및 협업에 비효율적입니다.
보안 취약성: 종이 서류는 분실, 도난, 파손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또한, 무단 복제 및 위변조가 용이하며, 중요 정보 유출의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높은 관리 비용: 종이 서류는 인쇄, 복사, 보관, 운반 등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됩니다. 또한, 서류 관리를 위한 별도의 공간과 인력이 필요하며, 이는 프로젝트의 전체 비용 증가로 이어집니다.
환경 문제: 종이 서류는 벌목으로 인한 환경 파괴를 야기합니다. 또한, 서류 생산 및 폐기에 따른 에너지 소비와 탄소 배출량 증가는 환경 문제를 심화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실시간 정보 공유의 어려움: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협업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예를 들어, 현장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관련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하지만,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정보 공유가 늦어져 문제 해결이 지체될 수 있습니다.
3. 개인용 디지털 공사관리앱 「콘업 코파일럿」
전게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공사 프로젝트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용 디지털 공사관리앱 도입이 필수적입니다. 공사관리의 디지털화를 통해 실시간 소통과 문서 공유로 협업이 원활해지고, 품질 관리와 안전 모니터링을 통해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종이 사용을 줄여 환경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콘업 코파일럿」의 핵심 주요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20829f_d8347250ffe54d4aaa99fb67885b9288~mv2.jpg/v1/fill/w_980,h_551,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20829f_d8347250ffe54d4aaa99fb67885b9288~mv2.jpg)
디지털 서류 작성 및 관리 기능: 「콘업 코파일럿」은 안전, 품질, 검측 등 다양한 서류를 디지털 형식으로 작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기존의 종이 문서 기반 업무 방식에서 벗어나, 모바일 앱을 통해 현장에서 바로 서류를 작성하고 전자 서명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작성된 서류는 클라우드 서버에 안전하게 저장되며, 관련자들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기반 현장 사진 촬영 및 자동 분류 기능: 「콘업 코파일럿」은 모바일 앱을 통해 사진 촬영 시 작업 위치, 공종, 세부 내용, 설계 정보 등을 함께 기록하여 사진 자료의 활용도를 높입니다. 또한, 사진을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여 안전하게 보관하고, 언제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실시간 데이터 공유 기능: 「콘업 코파일럿」은 현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 상황, 작업 진행 상황, 검측 결과 등을 즉시 관련자들과 공유하여 신속한 의사 결정을 지원하고 협업 효율성을 높입니다.
특화된 시각자료 관리 기능: 「콘업 코파일럿」은 공사 현장의 시각 자료 관리 기능이 특화되어 있습니다. PDF설계도면을 실시간 조회할수 있고, 자동 분류된 사진을 이용하여 현장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실시간 사진 대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20829f_4c36436a1bb547b9b0776454e57f3190~mv2.jpg/v1/fill/w_980,h_551,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20829f_4c36436a1bb547b9b0776454e57f3190~mv2.jpg)
4. 도입 시나리오 및 효과 예측
4.1 도입 시나리오
1인 현장기사인 김 대리는 오늘도 콘업과 함께 하루를 시작합니다.
현장 도착 및 작업 준비: 현장에 도착한 김 대리는 「콘업 코파일럿」 앱을 실행하여 해당 현장의 정보와 오늘의 작업 계획을 확인합니다. 앱에서 제공하는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작업 전 준비 사항을 꼼꼼하게 점검합니다.
검측 및 품질 관리: 오전에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김 대리는 「콘업 코파일럿」 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승인 등의 검측 서류를 작성하고, 타설 과정을 사진으로 촬영하여 첨부합니다. 콘크리트 시험 검사 일지 등 품질 관련 서류도 앱을 통해 작성하고 관리합니다.
안전 관리: 오후에는 철골 조립 작업이 진행됩니다. 김 대리는 작업 전 TBM, 위험성 평가표 등 안전 관련 서류를 앱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현장의 위험 요소를 사진과 함께 기록합니다. 또한, 작업자들에게 안전 교육을 실시하고, 교육 내용을 앱에 기록합니다.
사진 및 도면 관리: 김 대리는 하루 동안 촬영한 사진들을 「콘업 코파일럿」의 사진 관리 기능을 이용하여 일자별, 공종별로 자동 분류합니다. 또한, 설계 도면을 앱에서 확인하고, 도면에 마크업을 하여 작업 지시를 내립니다.
실시간 정보 공유: 김 대리는 작성된 서류와 촬영된 사진 등을 실시간으로 관련자들과 공유하고, 협업하여 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면 앱을 통해 바로 질문하고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퇴근 전 업무 정리: 퇴근 전, 김 대리는 「콘업 코파일럿」 앱을 이용하여 작업 내용을 정리하고, 미처 처리하지 못한 업무를 확인합니다. 또한, 다음 날 작업 계획을 미리 세워 놓습니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20829f_6b55e7f150c14619b0f41931ad226cab~mv2.jpg/v1/fill/w_980,h_551,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20829f_6b55e7f150c14619b0f41931ad226cab~mv2.jpg)
4.2 기대 효과
현장기사는 「콘업 코파일럿」 도입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업무 시간 단축: 디지털 서류 작성, 사진 자동 분류, 실시간 협업을 통해 1시간 걸리던 작업을 2∼30분이면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오류 감소: 수기 작업을 최소화하여 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정확한 데이터 관리가 가능합니다.
생산성 향상: 업무 효율성 향상을 통해 전반적인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의사소통 개선: 실시간 공유 기능을 통해 관련자들과 원활하게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습니다.
비용 절감: 종이 문서 사용량 감소, 업무 효율성 향상 등을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안전사고 예방: 안전 관리 기능 강화를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품질 향상: 체계적인 품질 관리 시스템 구축을 통해 공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개인의 기술 경험 자산 디지털화: 「콘업 코파일럿」은 개인의 기술 경험 자산을 디지털로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현장에서 쌓은 경험과 노하우를 디지털 형태로 기록하고 관리하여 개인의 역량 강화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5. 도입 비용 및 자원 산정
「콘업 코파일럿」 도입에 필요한 비용 및 자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용 항목 | 설명 | 예상 비용 |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비용 | 「콘업 코파일럿」은 무료 버전과 유료 버전을 제공합니다. 1인 현장기사의 경우 무료 버전으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하지만, 더 많은 기능과 저장 용량을 원한다면 유료 버전을 구독할 수 있음 | 무료 (일부 기능 제한) 사진 300장 / 문서 300페이지 도면 100페이지 / 프로젝트 3개 유료 (월별 구독) : 한달 9,000원/인 사진 무제한 / 문서 무제한 도면 무제한 / 프로젝트 무제한 앱내 결제후 구독 가능 |
하드웨어 구입 비용 | 「콘업 코파일럿」은 모바일 앱 기반으로 작동하므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가 필요합니다. 기존 보유 기기를 활용할 수 있음 | 기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기기 활용 (안드로이드, Ios 모두 가능) |
교육 비용 | 「콘업 코파일럿」은 사용법이 간편하지만,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온라인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있음 | 무료 : 온라인 교육 자료) / 단체 출장 교육 |
6. 교육 및 지원 계획 수립
현장기사의 「콘업 코파일럿」 활용을 위해 다음과 같은 교육 및 지원 계획을 수립합니다.
온라인 교육 자료 제공: 「콘업 코파일럿」 사용 매뉴얼, 동영상 강좌 등 다양한 온라인 교육 자료를 제공합니다. 특히, 현장기사가 쉽게 이해하고 따라 할 수 있도록 실제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 자료를 제작합니다.
사용자 커뮤니티 운영: 사용자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질문을 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운영합니다. 커뮤니티를 통해 사용자들은 다양한 활용 팁을 얻고, 문제 해결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콘업 코파일럿」 개발팀은 커뮤니티를 통해 사용자 의견을 수렴하고, 서비스 개선에 반영합니다. (www.conup.kr)
전담 지원팀 구성: 「콘업 코파일럿」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1인 현장기사를 위해 전담 지원팀을 구성하여 전화, 이메일 등을 통해 지원합니다. 전담 지원팀은 「콘업 코파일럿」 전문가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문의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응대합니다.
스마트 검측 및 페이퍼리스 업무 환경 구축 지원: 「콘업 코파일럿」은 스마트 검측, 스마트 워크, 페이퍼리스 업무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교육 및 지원 계획을 통해 1인 현장기사가 이러한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7. 솔루션 제안 및 기대 효과
「콘업 코파일럿」은 중소형 건설사의 현장기사에게 최적의 디지털 공사관리 솔루션입니다. 「콘업 코파일럿」 사용이 간편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장기사는 을 통해 개인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디지털 전환에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특히, 「콘업 코파일럿」은 비용절감, 안전사고 예방, 품질향상 뿐만 아니라 기술경험자산의 데이터화라는 혁신 가치를 실현합니다.
8. 결론
「콘업 코파일럿」은 중소형 건설사 1인 현장기사가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입니다. 수기 작업으로 인한 시간 낭비, 사진 관리의 어려움, 실시간 정보 공유의 부재 등을 해결하여 현장기사가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콘업 코파일럿」 도입을 통해 중소형 건설사는 현장 관리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안전사고 예방, 품질 향상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본 보고서에서 제시된 도입 플랜과 도입 시나리오를 참고하여 중소형 건설사는 「콘업 코파일럿」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고 디지털 전환 시대에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20829f_ea24d79a77474fc681e489b8136b408b~mv2.jpg/v1/fill/w_980,h_551,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20829f_ea24d79a77474fc681e489b8136b408b~mv2.jpg)
상담 02 3462 1336 김동욱 책임
더 알아보기 www.conup.co.kr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