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CMX_2022대지 304.png

BLOG

conup대지 832.png
conUP대지 1039.png
  • cmxblog

감리제도 재설계 국토부 혁신안 발표 이후 후폭풍이 일고 있다?

감리제도 혁신 국토부 혁신안 발표 이후 후폭풍이 일고 있다?

건축구조기술사들만 물만난 분위기, 감리 전문가로서 업역확대를 기대했던 건축시공기술사들도 실망한 분위기...

관점을 비틀어서 디지털 혁신이란 포커스에서


구조분야는 마이더스라는 툴로 구조계산 업무의 디지털 프로세스 전환에 성공했고 그 독점적 지위를 바탕으로 (5층이하 건축사용 구조계산 미이더스가 나오자 잽싸게 구조기술사 날인으로 폐기 수준으로 보내버림), 드뎌 구조 감리 업역 확대에 성공했고


반면 건축사 2000년이후 설계캐드화는 했지만 BIM전환에는 실패 또는 무관심, 요즘은 시공사가 완전 주도 앞으로 대략난감, 할수 있는게 설계비 타령뿐. (정작 국토부 혁신안은 온통 BIM이야기뿐)


설계업무에서 건축사의 독점지위가 계속 유지될 수 있을까요? 법률이 건축사를 지켜줄수 있을까요? 법은 바꾸면 그만인데.결국 핵심기술이 있어야 지위를 보전 또는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AI설계가 그 첫 징후라고 보면 무리일까요


최근 정부정책의 스탠스를 보면 구조기술사 대비 압도적 인원수임에도 불구하고 건축사들의 감리업역 자체를 무시하고 있는 것 같음. 일종의 불신이 깔려 있음. 그 이유가 (서울의 봄 시절 타자기에서는 벗어났지만) 감리 행태가 수십년째 하드카피에 머물러 있는 것과 무관할까요? (전쟁으로 치면 드론같은 첨단무기가 필요한데 재래식 총만 들고 있으니)


일만명에 달하지만 건축시공 전문가라는 구호말고는 솔루션이 없는 건축시공기술사들이 이번 혁신안에서 아예 투명인간 취급당하는 것은 저의 잘못된 편견일까요?


결국 관건은 진화, 진보, 혁신, 전환을 증명할 수 있는 솔루션인데... 그리고 지금의 시대정신은 스마트를 넘어 디지털인데 여기에 무관심하니 뒤쳐질수밖에


앞으로 감리업역의 주도권은 감리 프로세스의 디지털 솔루션을 누가 쥐느냐에 달려있다고 봅니다. 전문분야의 독점적 지위는 법안 문구로 확보되는 게 아니고 차별화된 업무 프로세스의 정립이 백업이 되어야 하는데..




조회수 44회댓글 0개

תגובות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