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CMX_2022대지 304.png

BLOG

conup대지 832.png
conUP대지 1039.png

서류에서 플랫폼으로: 대한민국 중소 건설업의 AI 기반 전환을 위한 전략 로드맵


서류에서 플랫폼으로: 대한민국 중소 건설업의 AI 기반 전환을 위한 전략 로드맵



Executive Summary


대한민국 건설 산업은 오랜 기간 노동집약적 구조와 낮은 생산성이라는 고질적 문제에 직면해왔다.1 특히 현장의 업무 방식은 여전히 방대한 양의 종이 서류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비효율과 리스크를 증대시키는 핵심 원인으로 지목된다. 본 보고서는 한국 건설 현장의 뿌리 깊은 종이 서류 기반 업무 방식의 원인을 법적, 구조적, 인적 차원에서 심층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적 대안을 제시한다.

보고서의 핵심은 시공사와 감리자 간의 협업을 디지털화하고, 나아가 공사 관리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하는 'AI 전환(AX)'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특히, 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디지털 전환에서 소외되기 쉬운 중소 건설사의 관점에서 현실적인 문제점을 진단하고 실현 가능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분석 결과, 종이 서류 의존은 단순한 관행이 아니라 법적 책임 회피, 불투명한 하도급 구조, 인력의 고령화 및 디지털 격차 등 복합적인 요인이 얽힌 결과물임이 드러났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본 보고서는 초기 도입 비용이 낮고 사용이 간편한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 협업 플랫폼을 중소 건설사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핵심 교두보로 제시한다. 이러한 플랫폼은 시공-감리 간의 비효율적인 소통 구조를 개선하고, 현장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향후 AI 도입의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나아가, AI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 관리, 공정 최적화, 품질 검사, 리스크 예측 등 건설 관리의 패러다임을 '사후 대응'에서 '사전 예방'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국내외 선도 기업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궁극적으로 본 보고서는 대한민국 중소 건설사가 직면한 디지털 전환의 장벽을 넘어서기 위한 정책적 제언과 기업 차원의 단계별 실행 전략을 포함한 포괄적인 로드맵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저생산성과 고위험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생산성, 안전성, 수익성이 동반 성장하는 기술집약적 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1부 관성의 뿌리: 종이 서류 기반 프로세스 의존성의 해부



1.1 방어 기제로서의 법률 및 규제 프레임워크


한국 건설 현장에서 종이 서류가 사라지지 않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그것이 단순한 기록 매체를 넘어 법적 분쟁과 책임 소재 규명에서 핵심적인 '방어 기제'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건설 프로젝트는 계약서, 설계도, 공사 계획서, 작업 일지, 검측 보고서, 기성 청구서 등 수많은 문서를 생성하며 진행된다.2 이 문서들의 일차적 목적은 종종 운영 효율성 향상이 아니라, 사고나 분쟁 발생 시 법적 책임을 방어하기 위한 증거 자료 확보다.

특히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경영 책임자와 관리자의 개인적 책임이 강화되면서 이러한 경향은 더욱 심화되었다.3 법적 처벌에 대한 두려움은 '방어적 문서화(Defensive Documentation)' 문화를 고착시켰다. 이는 현장의 안전이나 공정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기보다는, 감사나 법적 절차에 제출할 흠결 없는 서류 더미를 만드는 데 집중하게 만든다.3 현장 안전 관리자들은 서류 작업이 실제 현장 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회의감을 느끼며, 형식에 치우친 안전 관리에 무력감을 호소하기도 한다.4 또한, 각종 기관의 잦은 현장 점검은 이러한 서류 작업 부담을 가중시켜, 핵심 업무보다 서류 준비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만드는 악순환을 낳는다.5

이러한 상황에서 전자문서의 법적 효력에 대한 인식 지연은 디지털 전환의 큰 걸림돌로 작용한다.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이 개정되어 전자문서가 종이문서와 동등한 법적 효력을 갖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6, 현장에서는 여전히 물리적 날인이나 서명이 포함된 종이문서가 더 '안전하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과거 법 조항의 예외 규정들이 낳은 혼란과 8,

건축법 등 개별 법령에서 여전히 '서면(書面)' 제출을 명시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 이러한 불신을 깊게 했다.11 결국 법적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현장의 보수적 태도는, 법적으로 유효함에도 불구하고 전자문서 시스템 도입을 주저하게 만드는 강력한 관성으로 작용한다. 이는 '책임에 대한 공포가 비효율적인 종이 문서를 양산하고, 이 종이 문서 기반의 방어 체계가 진정한 투명성과 효율성을 가져올 디지털 도구의 도입을 가로막는' 악순환 구조를 형성한다.


1.2 건설 생태계의 구조적 장애물


다단계 하도급 구조로 대표되는 한국 건설 산업의 생태계는 종이 서류 기반의 업무 방식을 유지시키는 또 다른 핵심 요인이다. 복잡하게 얽힌 하도급 체계는 원도급사와 하도급사, 그리고 재하도급사 간의 정보 단절과 불투명성을 심화시킨다.17 이러한 환경에서 정보는 협업의 도구가 아닌, 각자의 이익을 지키기 위한 무기가 된다.

특히 원도급사와 하도급사 간의 정보 비대칭성은 고질적인 문제다. 하도급사는 물가 변동에 따른 공사비 조정에 필요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어렵고, 원도급사는 반복적인 입찰을 통해 하도급 대금을 인하하려는 유혹에 빠지기 쉽다.19 이러한 상호 불신 환경에서는 모든 참여자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는 투명한 디지털 플랫폼 도입이 어렵다. 각 주체는 협상과 분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 정보의 모호성을 유지하려 하기 때문이다. 즉, 디지털 전환에 대한 저항은 단순히 기술에 대한 것이 아니라, 현재의 불투명한 시스템에서 이익을 얻는 주체들의 권력 역학 관계에 기인한다.

더욱이, 하도급 단계마다 공사비가 삭감되는 구조는 산업 전반의 품질 저하와 안전 문제로 이어진다. 한 조사에 따르면 재하도급 계약 금액은 원도급의 약 73.2% 수준에 불과하며, 이 과정에서 불법 및 무자격 업체가 공사에 참여하는 경우도 빈번하다.18 이렇게 삭감된 예산으로는 양질의 자재나 숙련된 인력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새로운 기술에 투자할 여력은 더욱 부족해진다. 결국 저비용, 저품질의 전통적인 방식이 계속해서 답습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에 부딪히는 것이다.


1.3 인적 및 문화적 차원


건설 산업의 인력 구조와 조직 문화 역시 디지털 전환을 더디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인력의 급속한 고령화와 청년층의 유입 단절이다.23 건설 현장은 열악한 근무 환경과 낮은 임금 수준 등으로 인해 청년층이 기피하는 대표적인 산업이 되었고, 건축 및 토목공학 관련 학과 입학생 수도 감소 추세에 있다.24 현장을 지탱하는 중장년층 인력은 풍부한 경험을 가졌지만, 새로운 디지털 도구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변화에 대한 심리적 저항이 크다.26

이러한 내국인 인력 부족의 공백은 외국인 노동력으로 채워지고 있다. 특히 철근공과 같은 고된 직종에서는 외국인 근로자 비중이 상당히 높다.27 이는 언어와 문화의 장벽이라는 새로운 과제를 안겨준다. 디지털 도구의 도입과 교육, 활용에 있어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수적이지만, 다국적 인력으로 구성된 현장에서는 이 과정이 순탄치 않다. 일부 대기업에서는 AI 기반 번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려 시도하고 있으나 28, 이는 아직 중소 건설 현장까지 보급되지 않은 초기 단계의 기술이다.

이처럼 법적, 구조적, 인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한국 건설 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생산성이 현저히 낮은 노동집약적 구조에 머물러 있다.1 이는 기술집약적 산업으로의 전환에 실패한 결과이며 31, 종이 서류 기반의 업무 방식은 이러한 산업의 후진성을 상징하는 동시에 그 원인이 되고 있다.


요인 분류

구체적 원인

영향 및 설명

관련 자료

법률/규제

중대재해처벌법 등 강화된 법적 책임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 규명을 위한 방어적 목적으로 방대한 양의 서류를 생성하고 보관. 서류의 형식적 완결성에 집착하게 만듦.

3


전자문서 법적 효력에 대한 인식 부족

법적으로 전자문서의 효력이 인정됨에도 불구, 물리적 날인이 있는 종이문서가 더 안전하다는 관행적 불신이 디지털 전환을 저해.

8


잦은 현장 점검 및 감사

각종 기관의 점검에 대비하기 위해 서류 작업에 과도한 시간과 인력을 투입하게 되어, 실질적인 현장 관리보다 문서 관리에 치중.

5

구조/경제

다단계 하도급 구조와 정보 비대칭

원도급-하도급사 간 불신과 정보의 불균형으로 인해 투명한 데이터 공유 플랫폼 도입에 대한 저항 발생. 정보가 협업이 아닌 협상의 무기로 사용됨.

19


하도급 과정에서의 공사비 누수

하도급 단계를 거치며 공사비가 삭감되어, 신기술 도입이나 품질 향상에 투자할 재정적 여력이 부족해짐. 저가 수주 경쟁이 심화.

22


불법 재하도급 및 무자격자 시공

투명성이 낮은 하도급 구조는 불법 행위를 유발하며, 이는 공사 품질 저하와 안전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됨.

18

인적/문화

건설 인력의 고령화 및 디지털 격차

주력 인력인 중장년층의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 부족 및 새로운 방식에 대한 심리적 저항이 디지털 도구 도입의 장벽으로 작용.

23


청년층 유입 단절 및 인력난

열악한 근무 환경으로 인해 청년층이 건설업을 기피, 인력난이 심화되고 산업의 활력이 저하됨.

24


외국인 노동력 의존 심화

언어 및 문화 장벽으로 인해 디지털 도구의 교육 및 전파가 어려우며, 의사소통의 비효율 발생.

27


낮은 생산성과 보수적인 조직 문화

노동집약적 구조가 고착화되어 생산성 향상을 위한 혁신 동력이 부족하며, 기존의 방식을 고수하려는 관성이 강함.

1






제2부 디지털 브릿지: 시공사와 감리자 협업의 현대화



2.1 대립적 증빙에서 협력적 파트너십으로


전통적인 건설 현장에서 시공사와 감리자의 관계는 종종 서류를 매개로 한 대립적 구도로 형성된다. 시공사는 공정 진행과 품질 확보를 증명하기 위해 검측 요청서(검측서)를 비롯한 수많은 서류를 작성해 제출하고, 감리자는 이를 검토하고 승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은 필연적으로 시간 지연을 유발하고, 서류의 이동과 보관 과정에서 정보의 누락이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러한 방식은 문제 발생 후 책임을 규명하는 '사후 증빙'에 초점을 맞추게 하여, 선제적인 품질 관리와 효율적인 협업을 저해한다.

디지털 협업 플랫폼은 이러한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모든 참여자가 동일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클라우드 기반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시공-감리 관계는 '증빙' 중심에서 '협력'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다.33 현장에서 모바일 기기로 촬영한 사진과 영상이 시간 및 위치 정보와 함께 즉시 공유되고, 검측 요청과 승인이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불필요한 대기 시간을 없애고 의사결정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여 공기 단축에 직접적으로 기여한다.31 결국, 디지털 브릿지는 양측의 관계를 서류를 주고받는 수동적 관계에서, 공동의 데이터 위에서 소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동적인 파트너십으로 발전시키는 핵심 동력이다.


2.2 건설 협업 플랫폼 비교 분석


최근 '콘테크(ConTech)' 분야의 성장과 함께 다양한 건설 협업 툴이 시장에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모델은 중소 건설사의 디지털 전환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SaaS는 대규모 초기 투자 없이 월 또는 연 단위 구독료만으로 최신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진입 장벽을 크게 낮춘다.35 이는 과거 대기업의 전유물이었던 고가의 전사적자원관리(ERP)나 프로젝트관리정보시스템(PMIS)을 중소기업도 저렴한 운영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SaaS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기술 격차를 줄이는 '거대한 평형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시공사와 감리자 간의 원활한 협업을 위해 플랫폼이 갖춰야 할 핵심 기능은 다음과 같다.

ree
  • 모바일 기반 현장 관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현장에서 직접 검측 요청서, 공사 일지, 안전 점검표 등을 작성하고 전자 서명을 통해 제출 및 승인하는 기능.33

  • 실시간 소통 및 과업 관리: 프로젝트 참여자 간 채팅, 위치 정보가 포함된 사진 및 도면 공유, 특정 담당자에게 수정·보완 사항을 할 일(To-do)로 지정하고 처리 현황을 추적하는 기능.38

  • 문서 및 도면 중앙화: 모든 관련 문서와 최신 버전의 도면을 클라우드에 저장하여 '단일 진실 공급원(Single Source of Truth)'을 구축. 이를 통해 잘못된 구버전 도면으로 인한 시공 오류를 원천적으로 방지.18

  • 한국형 규제 준수: 국내 건축공사감리세부기준 등 법적 요구사항에 맞는 체크리스트와 서식을 기본적으로 탑재하여 규제 준수 업무를 간소화하는 기능.2


국내 시장에서는 이러한 한국형 규제에 특화된 솔루션들이 강점을 보인다. 씨엠엑스(CMX)의 '아키엠(Archiem)'과 '콘업(ConUp)'은 각각 감리 업무와 시공사 협업에 초점을 맞춘 SaaS 플랫폼으로, 국내 최초로 모바일 기반 전자문서화를 선도하며 시장을 개척했다.33 '안전달인'과 같은 플랫폼은 중대재해처벌법 대응에 필수적인 위험성 평가, TBM(Tool Box Meeting) 등 안전 관리 기능에 특화되어 있다.37 이러한 국내 솔루션들은 중소 건설사가 별도의 커스터마이징 없이 즉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Monday.com, Asana, Procore 등 글로벌 플랫폼들은 범용적인 프로젝트 관리 기능이 매우 강력하고 다양한 외부 서비스와의 연동성이 뛰어나지만, 국내 건설 환경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설정과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40 따라서 중소 건설사는 초기 도입 시, 사용 편의성이 높고 프로젝트 단위의 유연한 요금제를 제공하며 모바일 기능이 강력한 국내 특화 SaaS 솔루션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합리적이다.37


2.3 중소 건설사를 위한 단계적 도입 로드맵


전사적인 디지털 전환은 많은 중소 건설사에게 부담스러운 과제다. 따라서 저항을 최소화하고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계적인 접근이 필수적이다. 이는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 단일 솔루션을 '트로이 목마'처럼 활용하여 조직 내부에 디지털화의 성공 경험을 심는 전략이다.

  • 1단계: 문서 디지털화 및 소통 채널 단일화: 가장 먼저, 현장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업무인 사진 촬영 및 관리, 공사 일지 작성을 디지털화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스마트폰 앱을 활용해 촬영된 사진이 자동으로 날짜와 위치 정보와 함께 정리되고, 간단한 일지를 모바일로 작성하여 공유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시간 절약 효과를 볼 수 있다.

  • 2단계: 파일럿 프로젝트 기반 협업: 다음으로, 특정 프로젝트 하나를 선정하여 본격적인 협업 플랫폼을 도입한다. 이 단계의 목표는 시공사와 감리자 간의 핵심 업무 흐름, 즉 '검측 요청-피드백-수정-승인' 과정을 완전히 디지털로 전환하는 것이다. 파일럿 프로젝트의 성공은 디지털 도구의 효용성을 조직 전체에 증명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된다.

  • 3.단계: 전사적 통합 및 확장: 파일럿 프로젝트의 성공 경험과 피드백을 바탕으로 플랫폼 사용을 모든 현장으로 확대한다. 나아가, 협업 플랫폼에 축적된 데이터를 원가 관리, 안전 관리, 나아가 회사의 ERP 시스템과 연동하여 '디지털 기반 설계(Digital by Design)' 철학을 조직의 DNA에 내재화한다.38

이러한 점진적 접근 방식은 대규모의 하향식(Top-down) 변화 강요보다 훨씬 효과적이다. 현장의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서 출발하여 자연스럽게 디지털 문화가 조직 전반으로 확산되도록 유도하기 때문이다.


플랫폼

주요 대상

핵심 기능

가격 모델

한국 규제 준수

특징

관련 자료

콘업 (ConUp) / 아키엠 (Archiem)

시공사, 감리자

실시간 검측, 공사일지, 도면관리, 전자서명

SaaS (구독형)

매우 높음

국내 최초 시공-감리 협업툴, 건축법규 기반 체크리스트 내장

33

카스웍스 (CaasWorks)

발주처, 시공사, 감리자

프로젝트 통합관리, AI 기반 안전/영상 관리, 공정표, 전자결재

SaaS (프로젝트 단위)

높음

건축물 생애주기 관리, AI 솔루션 연계, 동영상 기록관리 특화

39

안전달인 (Safety Dalin)

안전관리자, 현장소장

위험성평가, TBM, 안전점검, 안전신고, 공무문서

SaaS (구독형)

매우 높음

중대재해처벌법 대응에 특화, 법률 자문 연계

37

가다 (GADA)

인력관리자, 근로자

일용직 인력 중개, 출역관리, 공수/임금 관리

플랫폼 수수료

해당 없음

건설 인력 중개에 특화된 앱, 근로자 이력 관리

48

Monday.com / Asana

프로젝트 관리자, 팀

범용 프로젝트 관리, 업무 할당, 진척도 모니터링

SaaS (사용자 단위)

낮음 (커스터마이징 필요)

강력한 범용성, 다양한 외부 툴과 연동성 우수

38

Procore / Autodesk Build

대규모 프로젝트

BIM 연동, 종합 프로젝트 관리, 재무 관리

SaaS (프로젝트 규모 기반)

중간 (커스터마이징 필요)

대형 프로젝트에 적합, BIM 기반 통합 관리 기능 강력

41









제3부 차세대 개척지: 공사 관리의 AI 전환(AX)



3.1 선제적 안전 및 리스크 관리를 위한 AI


건설 산업의 AI 전환(AX)에서 가장 즉각적이고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는 분야는 안전 관리다. 특히 컴퓨터 비전 기술은 기존의 CCTV 인프라를 활용하여 현장을 24시간 감시하는 '지능형 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적용 사례로 나타난다.

  • 개인보호장비(PPE) 착용 감지: AI가 CCTV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안전모나 안전 조끼를 착용하지 않은 작업자를 즉시 식별하고 관리자에게 경고를 보낸다.52 이는 단순한 규정 준수를 넘어 현장에서의 안전 의식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 위험 구역 접근 통제: 굴삭기의 회전 반경이나 개구부 주변 등 사전에 설정된 위험 구역에 작업자나 다른 장비가 접근할 경우, 자동으로 경보를 울려 협착 및 추락 사고를 예방한다.55

  • 위험 상황 감지: 용접 불꽃과 실제 화재를 구분하여 화재 발생 초기에 경고하거나 52, 작업자의 불안정한 자세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잠재적인 사고 위험을 사전에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58

컴퓨터 비전을 넘어, AI는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리스크를 예측하는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 현대건설과 같은 대기업은 과거 10년간 축적된 3,900만 건 이상의 방대한 시공 데이터를 AI에 학습시켜, 특정 공종과 작업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해 유형과 확률을 작업 당일 예측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59 또한, LH와 국토안전관리원은 전국의 건설사고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사고를 예측하는 AI 모델을 공동 개발 중이며, 이는 향후 민간에도 보급될 계획이다.61 이러한 예측 분석은 건설 관리를 '문제가 발생하면 해결하는' 사후 대응적 방식에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는' 예측적 관리로 바꾸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는 불확실성이 가장 큰 비용 요인인 건설 산업에서 리스크를 정량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는 혁신적인 방법론이다.31


3.2 핵심 건설 프로세스 최적화를 위한 AI


AI는 안전을 넘어 공정, 품질, 원가 등 건설 프로젝트의 핵심 프로세스 전반을 최적화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 공정 및 품질 자동 모니터링: 드론이나 현장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과 영상을 AI가 분석하여 BIM 모델과 비교, 공정 진행률을 자동으로 산출하고 시각화한다.64 또한, 사람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미세한 콘크리트 균열까지 딥러닝 기반 이미지 분석으로 찾아내고, 그 위치와 크기를 자동으로 기록하여 보수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29

  • 설계 및 공정 최적화: DL이앤씨는 AI를 활용하여 아파트 단지 설계 시, 30분 만에 약 1,000개의 설계안을 생성하고 비교 분석하여 주차 가능 대수를 평균 5% 이상 늘리는 성과를 거두었다.67 이처럼 AI는 주어진 제약 조건 하에서 자재 사용량, 에너지 효율, 시공성 등을 최적화하는 수천, 수만 가지의 대안을 신속하게 탐색하여 인간 설계자의 능력을 증강시킨다. 대규모 현장에서는 건설 장비의 이동 경로와 작업 순서를 최적화하여 장비 유휴 시간을 줄이고 연료 소모를 최소화하는 데에도 AI가 활용된다.70

  • AI 기반 원가 예측: 과거 유사 프로젝트의 공사비 데이터, 자재 가격 변동 추이, 공사 기간 등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프로젝트 초기 단계의 총공사비를 더 정확하게 예측하는 모델이 개발되고 있다.72 최근에는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연면적과 같은 기본적인 정보만으로 공종별 상세 내역까지 추정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이는 기존의 인간 견적 방식이 가진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73


3.3 AI의 전제조건: 데이터 생태계


AI의 잠재력은 무한하지만, 그 성능은 전적으로 학습 데이터의 질과 양에 달려있다. "쓰레기가 들어가면 쓰레기가 나온다(Garbage In, Garbage Out)"는 원칙은 AI에서 그 어떤 분야보다 철저하게 적용된다. 현재 한국 건설 산업의 데이터 관리 방식은 AI 도입의 가장 큰 걸림돌이다.76

데이터는 발주처, 원도급사, 협력업체 등 각기 다른 주체에 의해 파편화되어 있으며, 설계, 구매, 시공 등 각 부서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도 달라 데이터가 통합되지 못하고 고립된 '데이터 사일로(Data Silo)' 현상이 만연하다.78 데이터의 형식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상호 교환 및 분석도 어렵다.

따라서 중소 건설사가 AI의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는, AI 도입 이전에 제2부에서 논의된 디지털 협업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바로 이 플랫폼들이 현장의 사진, 일지, 검측 기록 등 비정형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디지털 자산으로 전환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잘 구축된 디지털 협업 환경은 그 자체로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미래 AI 시스템을 위한 양질의 '데이터 정유소'가 된다.80 즉, AI는 단번에 도달해야 할 최종 목표가 아니라, 데이터 기반을 착실히 다져나가는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구현되는 기술적 진화의 산물이다.


제4부 중소 건설사의 딜레마: 디지털화 장벽 극복하기



4.1 중소 건설사의 핵심 장벽 식별


대기업들이 스마트 건설 기술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며 앞서나가는 동안, 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중소 건설사들은 여러 장벽에 부딪혀 디지털 전환의 흐름에서 뒤처지고 있다. 이러한 격차는 산업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중소기업의 장기적인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이 된다.82 중소 건설사가 직면한 핵심 장벽은 다음과 같다.

  • 과도한 초기 비용과 불확실한 투자수익률(ROI): 가장 큰 장애물은 단연 비용이다. BIM과 같은 전문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비용, 드론이나 IoT 센서 등 하드웨어 구매 비용, 그리고 직원 교육에 수반되는 시간과 비용은 당장의 현금 흐름에 민감한 중소기업에게 큰 부담이다.32 특히 민간 공사 입찰에서는 스마트 기술 도입으로 인한 원가 상승이 오히려 수주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어, 기술 투자를 주저하게 만든다.32 생존이 최우선 과제인 상황에서 명확하고 즉각적인 투자수익률이 보장되지 않는 디지털 전환은 후순위로 밀릴 수밖에 없다.84

  • 전문 인력 및 전략 부재: 중소 건설사는 디지털 전환을 전담할 IT 부서나 전략 기획 인력을 보유한 경우가 거의 없다.85 기술 검토, 도입, 관리의 책임이 기존 업무로도 벅찬 현장 소장이나 공무 담당자에게 부과되어, 체계적인 전략 수립과 실행이 어렵다.86

  • 변화에 대한 조직적 저항: 디지털 도구는 기존의 익숙한 작업 방식을 바꾸도록 요구한다. 이는 수십 년간 관행처럼 굳어진 업무 프로세스에 익숙한 현장 직원들의 저항에 부딪히기 쉽다.26 리더십의 강력한 의지와 체계적인 변화 관리가 없다면, 도입된 기술은 사용되지 않고 방치될 가능성이 높다.

  • 심화되는 디지털 격차: 대기업들은 자체 연구소를 설립하고 디지털 전문가를 영입하여 독자적인 플랫폼과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68 정부의 공공공사 BIM 도입 의무화와 같은 정책은 이러한 기술 격차를 더욱 벌려, 기술력을 갖추지 못한 중소기업이 공공사업에서 배제될 위험을 키운다.1


4.2 전환의 사례: 국내외 선도기업으로부터의 교훈


이러한 장벽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는 기업들의 사례는 중소 건설사에게 중요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중소기업의 전략은 이들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성공 원리를 분석하여 자사의 현실에 맞게 '스마트하게 채택'하는 것이어야 한다.

  • 글로벌 선도기업의 교훈:

  • 벡텔(Bechtel): '현장 문제 해결' 중심 접근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벡텔은 현장 감독들이 서류 작업에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발견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맞춤형 모바일 앱을 개발했다. 특정 고충(Pain Point)을 해결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막대한 생산성 및 안전성 향상을 이끌어낸 이 사례는 '트로이 목마' 전략의 전형이다.88 또한, 25,000개 프로젝트의 데이터를 AI로 분석하여 공사 순서를 최적화하는 것은 데이터 자산화의 힘을 보여준다.90

  • 스칸스카(Skanska): 다층적 AI 활용 전략을 구사한다. 외부 전문 기술(Dusty Robotics의 로봇)을 도입하고, 기존 플랫폼(Procore)에 내장된 AI를 활용하며, 동시에 자체적인 AI 챗봇('Sidekick')을 개발하여 조직의 지식을 자산화한다.51 특히, 자사의 안전 매뉴얼을 학습한 'Safety Sidekick'은 현장 직원 누구나 전문가 수준의 안전 지식에 즉시 접근할 수 있게 만들어, 기술을 통한 조직 역량 강화의 모범을 제시한다.92

  • 빈치(VINCI): '사람 중심'의 접근법을 강조한다. "욕망에 의한 디지털(Digital Driven by Desire)"이라는 슬로건 아래, 기술을 사람의 필요에 맞추고 사용하기 쉬워야 한다는 원칙을 고수한다.94 이는 기술 도입의 성패가 결국 '사람'의 수용에 달려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 국내 대기업의 시사점:

  • 현대건설, DL이앤씨, 포스코이앤씨 등 국내 대기업들은 막대한 자본을 투입해 리스크 예측 AI, 설계 최적화 AI, 자체 데이터 플랫폼 등을 개발하고 있다.59 중소기업이 이러한 기술을 직접 개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들이 집중하는 분야(안전, 품질, 공정 효율)는 모든 건설사의 공통된 관심사다. 따라서 중소기업을 위한 교훈은, 대기업이 막대한 비용으로 검증한 고부가가치 AI 애플리케이션을 저렴한 외부 전문 서비스나 SaaS 형태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를 모색하는 것이다.


4.3 중소 건설사를 위한 정부 및 산업계 지원 모델


중소 건설사의 디지털 전환은 개별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하다. 정부, 기술 공급업체, 산업 협회가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생태계' 차원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 재정 지원 및 인센티브:

  • 정부는 검증된 SaaS 협업 플랫폼이나 스마트 안전 장비 도입 비용을 직접 보조하는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36

  • 공공공사 발주 시, 스마트 기술 적용에 따른 추가 비용을 공사비에 정당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품셈 및 대가 기준을 신속하게 현실화해야 한다. 이는 기술 도입이 가격 경쟁력 저하로 이어지는 모순을 해결하는 핵심 과제다.96

  • 기술 보급 및 지식 이전:

  • 정부 주도로 300억 미만 소규모 공사에 특화된 '저비용 스마트 패키지'를 개발하여 보급 또는 임대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고가의 BIM 대신 2D 도면 기반 관리 플랫폼, 저가형 드론, 단순 경보 기능의 안전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103

  • 핵심 스마트 기술을 누구나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공공 스마트 플랫폼'을 구축하고, 정부가 사용료를 지원하는 '공공재' 방식으로 제공하는 혁신적인 접근도 필요하다.103

  • 인력 양성 및 교육:

  •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를 포함한 기존 인력을 대상으로 디지털 도구 활용법에 대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104

  • 외국인 근로자와의 소통 장벽을 낮추기 위해 AI 번역기와 같은 솔루션을 정부 차원에서 개발하거나 보급을 지원하여 현장의 의사소통 효율을 높여야 한다.28


장벽

중소 건설사에 미치는 영향

해결 방안

주요 실행 주체

관련 자료

높은 초기 도입 비용

생존에 급급한 상황에서 투자 여력 부족, 기술 도입 포기

SaaS 구독료 지원, 스마트 기술 공사비 현실화, 저비용 패키지 개발

정부, 공공 발주처

32

전문 인력 및 전략 부재

체계적인 디지털 전환 전략 수립 및 실행 불가, 기술 도입 실패

산업별 컨설팅 지원, 성공사례 공유 플랫폼 구축, 사용하기 쉬운 솔루션 개발

정부, 산업 협회, 기술 공급업체

85

변화에 대한 조직적 저항

현장 직원의 비협조로 도입된 기술이 사장됨, 투자 낭비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한 성공 경험 전파, 리더십 교육, 사용자 중심의 솔루션 설계

기업 경영진, 기술 공급업체

26

대기업과의 디지털 격차

공공공사 등 기술력이 요구되는 시장에서 경쟁력 상실 및 도태

공공 스마트 플랫폼 제공, 기술 표준화, 중소기업 컨소시엄 지원

정부, 대기업, 산업 협회

82

데이터 활용의 어려움

데이터의 파편화 및 표준 부재로 AI 도입의 기반이 없음

데이터 표준화 가이드라인 제시, 플랫폼 간 데이터 연동 지원

정부, 산업 협회

78







제5부 전략적 전망 및 제언



5.1 2030년 한국 건설 현장의 미래: 비전


2030년, 대한민국의 한 중소 건설사가 시공하는 도심형 생활주택 현장을 상상해보자. 현장 소장은 더 이상 두꺼운 도면 뭉치와 서류철을 들고 다니지 않는다. 대신 태블릿 PC 하나로 모든 업무를 처리한다. 아침 TBM(Tool Box Meeting)은 다국어 번역 기능이 탑재된 앱을 통해 모든 근로자에게 오늘의 작업 내용과 안전 지침을 명확히 전달하며 시작된다.

현장 곳곳에 설치된 CCTV는 단순한 감시 카메라가 아니다. AI 영상 분석 시스템과 연동되어, 안전모 미착용자나 위험 구역에 접근하는 지게차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현장 소장의 태블릿과 안전 관리자의 스마트 워치에 즉시 경고를 보낸다. 드론이 주기적으로 현장 상공을 비행하며 촬영한 3D 데이터는 BIM 모델과 자동으로 비교되어 공정률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

감리자와의 소통은 더 이상 종이 검측서를 기다리는 과정이 아니다. 시공사가 앱으로 특정 공정의 완료 사진과 데이터를 올리면, 감리자는 원격으로 확인하고 즉시 디지털 서명으로 승인한다. 만약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발견되면, 해당 위치에 정확히 코멘트와 사진을 첨부하여 시공사에 전달하고, 시공사는 이를 즉시 확인하고 조치한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공정, 원가, 안전, 품질-는 클라우드 플랫폼에 실시간으로 축적된다. 본사에서는 이 데이터를 통해 여러 현장의 상황을 한눈에 파악하고, AI 기반 리스크 분석 시스템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잠재적인 공기 지연이나 원가 초과 위험을 사전에 경고한다.

이러한 비전은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는 혼란스럽고 서류 중심의 노동집약적 현장이, 질서 있고 데이터 기반의 기술집약적 현장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보여준다.31 이러한 변화는 생산성과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뿐만 아니라, 건설 산업을 청년들이 매력을 느끼는 첨단 산업으로 탈바꿈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다.


5.2 중소 건설사를 위한 종합 디지털 전환 실행 계획


이러한 비전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중소 건설사 경영진은 다음과 같은 단계별 실행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해야 한다.

  • 1단계: 리더십의 인식 전환과 비전 공유: 모든 변화는 최고경영자(CEO)의 강력한 의지에서 시작된다. 디지털 전환을 단순한 비용 지출이 아닌, 기업의 생존과 미래 경쟁력을 위한 핵심 전략 투자로 인식해야 한다.81 그리고 이 비전을 모든 직원과 공유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2단계: 고충점(Pain Point) 진단: 기술 도입을 위한 기술 도입은 실패로 이어진다. 현재 우리 회사의 업무 프로세스에서 가장 비효율적이고, 비용을 낭비하며, 리스크를 발생시키는 부분이 무엇인지 정확히 진단해야 한다.109 예를 들어, '잦은 설계 변경으로 인한 재시공', '감리 승인 지연으로 인한 공기 지연' 등 구체적인 문제를 정의하는 것이 출발점이다.

  • 3단계: 작게 시작하여 똑똑하게 확장하라 (트로이 목마 전략): 진단된 가장 큰 고충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저렴하고 사용하기 쉬운 단일 솔루션을 도입한다. 본 보고서의 '건설 협업 플랫폼 비교 분석표'를 활용하여 우리 회사에 맞는 최적의 도구를 선택한다. 이 작은 성공이 조직 내 디지털 전환의 마중물이 된다.

  • 4단계: 측정, 학습, 그리고 반복: 도입한 도구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한다. '검측 승인 시간이 얼마나 단축되었는가?', '도면 오류로 인한 재작업이 얼마나 줄었는가?' 등을 평가하고, 현장 직원들의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문제점을 개선한다.44 이 과정을 통해 얻은 교훈과 성공 경험이 다음 단계로 나아갈 동력이 된다.

  • 5단계: 기술 스택(Tech Stack) 구축: 점진적으로 상호 보완적인 기술들을 추가해 나간다. 사진 관리 앱으로 시작해 협업 플랫폼으로 확장하고, 여기에 AI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를 추가하는 방식이다. 목표는 단일 시스템에 얽매이는 것이 아니라, 우리 회사에 필요한 기능들을 유연하게 조합한 최적의 '기술 조합(Tech Stack)'을 구축하는 것이다.

  • 6단계: 사람에 대한 투자: 기술은 결국 사람이 사용해야 가치를 발휘한다. 직원들에게 지속적인 교육과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새로운 시도를 장려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디지털 전환은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사람과 문화의 문제임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44


5.3 결론: 악순환에서 선순환으로


현재 대한민국 중소 건설 산업은 [낮은 생산성 및 높은 리스크 → 낮은 수익성 → 기술 및 인재 투자 여력 부족 → 저비용·저효율 방식 의존 → 낮은 생산성 및 높은 리스크 심화] 라는 악순환의 고리에 갇혀 있다.

그러나 본 보고서에서 제시한 디지털 전환 로드맵은 이 악순환을 선순환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열쇠를 제공한다. 전략적인 디지털 도구의 도입은 [효율성 및 안전성 증대 → 원가 절감 및 사고 감소 → 수익성 향상 → 우수 기술 및 인재에 대한 재투자 여력 확보 → 고부가가치 기술집약적 사업 모델 구축] 이라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낸다.31

이 거대한 전환의 시작은 현장을 짓누르는 '종이 서류의 관성'을 깨는 것이다. 시공사와 감리자 간의 협업을 디지털화하는 작은 첫걸음이 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된 데이터는 AI 도입의 기반이 되어 산업 전체의 체질을 바꾸는 나비효과를 일으킬 것이다. 이제 선택의 시간은 지났다. 디지털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이며, 대한민국 중소 건설 산업이 지속 가능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완수해야 할 시대적 과제다.


참고 자료

  1. 국내 건설산업의 디지털 전환, 어디까지 왔나? - 서울건축사신문,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ir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16

  2. 건설업에 필요한 서류의 종류와 [전자인감관리]를 사용해야하는 이유! - 세포아소프트,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epoasoft.co.kr/2023/03/29/%EA%B1%B4%EC%84%A4%EC%97%85%EC%97%90-%ED%95%84%EC%9A%94%ED%95%9C-%EC%84%9C%EB%A5%98%EC%9D%98-%EC%A2%85%EB%A5%98%EC%99%80-%EC%A0%84%EC%9E%90%EC%9D%B8%EA%B0%90%EA%B4%80%EB%A6%AC%EB%A5%BC-%EC%82%AC/

  3. 안전관리자가 해야하는 안전문서 종류. 왜? 많은걸까?,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sayfree-safelee.tistory.com/25

  4. 건설현장의 진짜 안전, 문서로는 부족합니다 – 현실과 대안,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blog.edsafety.co.kr/%EA%B1%B4%EC%84%A4%ED%98%84%EC%9E%A5%EC%9D%98-%EC%A7%84%EC%A7%9C-%EC%95%88%EC%A0%84-%EB%AC%B8%EC%84%9C%EB%A1%9C%EB%8A%94-%EB%B6%80%EC%A1%B1%ED%95%A9%EB%8B%88%EB%8B%A4-%ED%98%84%EC%8B%A4%EA%B3%BC-%EB%8C%80%EC%95%88-55203

  5. “아직도 수기로 서류 작성” 건설현장, 서류업무 과중…공사 차질 초래 - 위클리서울,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weeklyseoul.net/news/articleView.html?idxno=81122

  6. 전자문서도 종이 문서와 법적 효력 같아진다 - 대한전문건설신문,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koscaj.com/news/articleView.html?idxno=214870

  7. 전자문서의 법적효력 - 전자문서통합지원센터,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npost.kr/front/eIntro/legEffect.do

  8. [전자문서법 살펴보기] 법적 효력이 달라졌을까? - 이폼사인 - eformsign,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eformsign.com/kr/blog/e-document-law/

  9. 전자문서 법적 효력 명확해졌다…네거티브 방식 적용 - 대한전문건설신문,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koscaj.com/news/articleView.html?idxno=210341

  10. 전자문서법해설서,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support.kasfo.or.kr/component/file/download.asp?sBrdID=17222&sBrdFileID=3530

  11. 부동산/임대차 > 건축허가 또는 신고의무 -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easylaw.go.kr/CSP/OnhunqueansInfoRetrieve.laf?onhunqnaAstSeq=84&onhunqueSeq=1555

  12. 문서뷰어 - 한국조세재정연구원,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ipf.re.kr/synapsoft/FileViewerPartial.do;jsessionid=9C686711E1DF255DDE5BCDE094CAA5BF?atchFileId=FILE_000000000000220&fileSn=1

  13. 건축법 시행규칙 - 국가법령정보센터,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245209&ancYd=20221102&ancNo=01158&efYd=20230503&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ancYnChk=0

  14. 공동주택 행위허가신고,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gimhae.go.kr/board/download.do?idx=2453751&fnum=1&gcode=1095&fsiz=

  15. 구조 안전 서류 제출 의무 없이 기존 건축물 증축 허용 범위 10%→20% 확대, '건축법 시행규칙' 12월 17일 시행,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www.anc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18266

  16. 질의회신 및 판례집 - 한국건설엔지니어링협회,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ekacem.or.kr:446/pds/techpds/1/%EA%B1%B4%EC%84%A4%EC%97%94%EC%A7%80%EB%8B%88%EC%96%B4%EB%A7%81%20%EC%A7%88%EC%9D%98%ED%9A%8C%EC%8B%A0%20%EB%B0%8F%20%ED%8C%90%EB%A1%80%EC%A7%91_%EC%B5%9C%EC%A2%85.pdf

  17. 새로운 정부 정책 기조는 '건설현장 디지털 전환', 카스웍스로 보는 대응 전략,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caas.works/blog/6847e287381b114321203ad3

  18. [와우투게더] 업사이트, "디지털전환(DX) 기술로 한국 건설을 한 단계 'UPSIGHT'",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owtale.net/2024/10/28/231816/

  19. 2025년 건설산업기본법 최신 개정 동향과 하도급·직접시공 제도 현황 분석 - Goover,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seo.goover.ai/report/202505/go-public-report-ko-fec44fdf-4271-434d-9af9-dfa51ea4eae0-0-0.html

  20. 건설공사 하도급 입찰 문제점 및 개선 방안,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ricon.re.kr/file_download.php?type=board&no=5175&idx=0

  21. 건설현장 불법하도급 집중단속 결과 및 근절방안 - 국토교통부,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olit.go.kr/portal/common/download/DownloadMltm2.jsp?FilePath=/upload/portal/DextUpload/202309/20230920_141420_939.pdf&FileName=(%EB%B3%84%EC%B2%A8)%20%EA%B1%B4%EC%84%A4%ED%98%84%EC%9E%A5%20%EB%B6%88%EB%B2%95%ED%95%98%EB%8F%84%EA%B8%89%20%EC%A7%91%EC%A4%91%EB%8B%A8%EC%86%8D%20%EA%B2%B0%EA%B3%BC%20%EB%B0%8F%20%EA%B7%BC%EC%A0%88%EB%B0%A9%EC%95%88.pdf

  22. 불법하도급 | 기준, 처벌 사례, 하도급계약 위반 처벌 규정 | 대륜 - 부동산전문변호사,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daeryunlaw-estate.com/lawInfo_new/6645

  23. “건설 현장 리더가 사라진다”…청년 외면에 '고령화 쇼크' 직면한 건설 산업 - 영남경제,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yne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66395

  24. 건설현장 기술인력 부족, 근본적 해결책 필요 - 도시정비,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www.re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6629

  25. 건설현장 기술인력, 구조적 부족 심화… 산업 지속성 위협 - 한국경제,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7145832P

  26. DX(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와 건설 산업 - 메이사,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eissa.ai/en/blog-posts2/dx-dijiteol-teuraenseupomeisyeon-wa-geonseol-saneob

  27. 건설현장 인력난에 무너진 안전…“일할사람이 없어요” - 파이낸셜투데이,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www.f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7753

  28. 건설현장 30%는 외국인…“AI로 소통장벽 허물어요” - YouTube,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7dEKxbCU35w

  29. AI로 실현하는 스마트 건설, 건설 분야의 AI 도입사례 살펴보기 - SK C&C,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kax.co.kr/insight/trend/3018

  30. “건설산업, 여전히 디지털화 미비… AI·BIM 기반으로 빠른 전환 이뤄져야” - 조선비즈,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real_estate/real_estate_general/2023/09/06/ZQEY4NGBDND3FJVJ6Y7YGFRR4Y/

  31. 미래의 건설산업, 디지털로 준비하라,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assets.kpmg.com/content/dam/kpmg/kr/pdf/2021/kr-issuemonitor-digital-transformation-in-the-construction-20210716.pdf

  32. [창간특집] 스마트 건설장비 쓰려고 해도 비용 늘고 규제 많아 '확산 발목',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koscaj.com/news/articleView.html?idxno=312454

  33. 건설 현장의 디지털전환을 선도하다건설 협업 플랫폼 기업 '씨엠엑스' - HL 디앤아이한라 웹진,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ebzine.hldni.com/?p=14307

  34. [창사 29주년 테마기획] 건설IT 강소기업|씨엠엑스, 건설 분야 최초 비대면 디지털 협업 구현,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ikld.kr/news/articleView.html?idxno=271907

  35. 공사현장, 왜 건설전문 협업툴이 필요한가 ?,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conup.co.kr/post/%EC%99%9C%EA%B1%B4%EC%84%A4%EC%A0%84%EB%AC%B8%ED%98%91%EC%97%85%ED%88%B4%EC%9D%B4%ED%95%84%EC%9A%94%ED%95%9C%EA%B0%80

  36. 2-1. 15년_클라우드 서비스(SaaS)_개발지원_사업안내문(사업계획서 양식 포함).hwp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nipa.kr/comm/getFile?srvcId=BBSTY1&upperNo=8yDyWSLKcOk^2eLcMuNQ2g==&fileTy=ATTACH&fileNo=1PFsS0nvTpd8tB2p1upw9A==

  37. 안전달인 - 안전관리 시스템,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sgmaster.co.kr/

  38. 협업툴 종류 9가지 비교하기 - 티그리스,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blog.tigris.cloud/144

  39. 스마트 건설 플랫폼 카스웍스,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caas.works/

  40. 2024년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상위 19개 협업툴 소개,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monday.com/blog/ko/project-management-ko/the-complete-project-management-software-list/

  41. 2025년 최고의 건설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 13선 - ClickUp,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clickup.com/ko/blog/423293/construction-communication-software

  42. SaaS 협업 도구란 무엇일까요? 유형별 예시 - PayPro Global,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payproglobal.com/ko/%EB%8B%B5%EB%B3%80/saas-%EC%9B%90%EA%B2%A9-%ED%98%91%EC%97%85-%EB%8F%84%EA%B5%AC%EB%9E%80/

  43. 건설 프로젝트 관리 소프트웨어 상위 10개 및 선택 방법 - Slingshot,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lingshotapp.io/ko/blog/construction-project-management-software

  44. 건설산업 현장의 디지털 전환과 AX화 전략 - 콘업 AI 공사관리,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conup.co.kr/post/%EA%B1%B4%EC%84%A4%EC%82%B0%EC%97%85-%ED%98%84%EC%9E%A5%EC%9D%98-%EB%94%94%EC%A7%80%ED%84%B8-%EC%A0%84%ED%99%98%EA%B3%BC-ax%ED%99%94-%EC%A0%84%EB%9E%B5

  45. Sheet1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nipa.kr/comm/getFile?srvcId=BBSTY1&upperNo=V^7zF4gduY7QDHZeSJjbAg==&fileTy=ATTACH&fileNo=Khva3GfDbTV7JKOXyBia4A==

  46. 카스웍스 (r30 판) - 나무위키,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C%B9%B4%EC%8A%A4%EC%9B%8D%EC%8A%A4?rev=30

  47. 카스웍스 - 나무위키,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C%B9%B4%EC%8A%A4%EC%9B%8D%EC%8A%A4

  48. 가다 현장관리자 - 건설사앱 - Google Play 앱,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worksmate.manager&hl=ko

  49. 건설 일용직 근로자 중개 플랫폼, 가다(GADA),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1gada.com/

  50. 가다 - 근로자 구직자용앱 - Google Play 앱,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worksmate.gada&hl=ko

  51. How AI is revolutionizing productivity, efficiency and knowledge sharing - Skanska USA,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usa.skanska.com/who-we-are/media/constructive-thinking/how-ai-is-revolutionizing-productivity-efficiency-and-knowledge-sharing/

  52. '안전모 미착용자 감지' 알람..AI로 현장 안전 관리 - 스마트투데이,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mart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545

  53. 건설 현장 4대 위험, AI 영상 관제로 2주 만에 해결,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blog-ko.superb-ai.com/construction-site-safety-ai-video-analytics-solution/

  54. "작업자 안전모 미착용 감지 가능"...코오롱베니트, '비전 AI' 기술 고도화 착수 - 지디넷코리아,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zdnet.co.kr/view/?no=20241010110140

  55. [핫클립] AI 비전 감시 시스템으로 산업현장 안전을 지킨다 / YTN 사이언스 - YouTube,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adpbNEh0i2I

  56. [대한경제] “AI로 위험 감지…건설현장 사고 예측시스템 구축” - 2025 한국건설·안전박람회,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k-consafetyexpo.com/fairBbs.do?selAction=view&FAIRMENU_IDX=7776&BOARD_IDX=61744&BOARD_NO=842&selPageNo=1&hl=KOR

  57. 현대건설, AI 영상 분석 활용해 건설현장 안전‧품질 관리,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hdec.kr/kr/newsroom/news_view.aspx?NewsSeq=698&NewsType=LATEST&NewsListType=news_clist

  58. 현대건설, AI 영상 분석 활용해 건설현장 안전‧품질 관리 - 한국경제,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212055706i

  59. 현대건설, 전 건설현장에 '재해 예측 AI' 도입해 선제적 안전관리,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hdec.kr/kr/newsroom/news_view.aspx?NewsSeq=38&NewsType=LATEST&NewsListType=news_clist

  60. 현대건설, 전 건설현장에 '재해 예측 AI' 도입해 선제적 안전관리,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hdec.kr/kr/company/press_view.aspx?CompanyPressSeq=19

  61. LH·국토안전관리원, 건설사고 예측 AI 개발…2026년까지 민간 보급 - 부산일보,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5052716154524482

  62. LH, 국토안전관리원과 건설사고 예측 AI 개발 추진 | 보도자료 | 뉴스룸 : 한국토지주택공사,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lh.or.kr/gallery.es?mid=a10502000000&bid=0003&b_list=8&act=view&list_no=11772&nPage=4&vlist_no_npage=7&keyField=&orderby=

  63. 건설산업의 디지털 전환 동향과 대응 방향,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cerik.re.kr/file/download/report/2662?filename=%EA%B1%B4%EC%84%A4%EC%82%B0%EC%97%85%EC%9D%98%20%EB%94%94%EC%A7%80%ED%84%B8%20%EC%A0%84%ED%99%98%20%EB%8F%99%ED%96%A5%EA%B3%BC%20%EB%8C%80%EC%9D%91%20%EB%B0%A9%ED%96%A5.pdf

  64. 건설 현장에 스마트함을 더하는 사람들,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hdec.kr/kr/newsroom/news_view.aspx?NewsSeq=316&NewsType=CULTURE&NewsListType=inter_list

  65. AI가 만드는 스마트 건설,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cmak.or.kr/upload/es/00_%EC%95%88%EC%B0%BD%EB%B2%94%EA%B5%90%EC%88%98.pdf

  66. AI가 건설을 혁신하다: 적용 사례 분석 - Goover,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seo.goover.ai/report/202412/go-public-report-ko-83685255-bee9-47a1-8c57-b3115cb0da5b-0-0.html

  67. "AI가 건설산업 변화시킨다", 건설업계 기술개발과 현장 도입 활발히 진행,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p6ix.co.kr/newsroom/geonseolnyuseu/aiga-geonseolsaneob-byeonhwasikinda-geonseoleobgye-gisulgaebalgwa-hyeonjang-doib-hwalbalhi-jinhaeng/dl-focus

  68. DL이앤씨, '디지털 기업' 변신 속도낸다 - FETV,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fetv.co.kr/news/article.html?no=104927

  69. DL이앤씨, 디지털 혁신 본궤도...디벨로퍼 사업 속도 - 헤럴드경제 - The Korea Herald,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m.koreaherald.com/article/2677761

  70. AI 기반 솔루션으로 건설 운영 최적화 [사례 연구] - VTI KOREA,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vtikorea.co.kr/optimizing-construction-operations-with-ai-powered-solutions

  71. Curbing equipment emission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 Skanska Group,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group.skanska.com/media/articles/curbing-equipment-emissions-through-artificial-intelligence/

  72. 건설 빅데이터의 중요성 및 활용 분야 - 산군,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ankun.com/blog/detail/244_%EA%B1%B4%EC%84%A4_%EB%B9%85%EB%8D%B0%EC%9D%B4%ED%84%B0%EC%9D%98_%EC%A4%91%EC%9A%94%EC%84%B1_%EB%B0%8F_%ED%99%9C%EC%9A%A9_%EB%B6%84%EC%95%BC

  73. 생성형 AI 기반 공사비 예산 견적 모델 개발 연구,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koreascience.kr/article/JAKO202516143202128.pdf

  74. 빅데이터 기반 공공건축 공사비 분석 및 예측 시스템 - 위세아이텍,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wise.co.kr/reference/performanceView.do?proj_no=201807090001&actv=2&INDUSTRY=1&preRow=72&nextRow=74¤tPage=8

  75. 【REPORT-KDB 미래전략연구소】 '건설산업에서의 인공지능 기술 활용 동향'…공사비 최대 30% 절감, 공사 기간 12% 단축 가능,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anc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19035

  76. AI 속도 내는 건설업… 그리고, 딥시크가 던진 경고 - 시사위크,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222463

  77. [기술브릿지] 건설산업의 지능화: 데이터와 인공지능이 이끄는 새로운 시대,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kme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161

  78. 건설업에서의 데이터 분석 중요성 | Aptic Consulting,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apticconsulting.com/ko/blog/the-importance-of-data-analytics-in-the-construction-industry/

  79. 빅데이터(Big Data)로 건설산업에 숨겨진 가치를 찾자,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cerik.re.kr/board/debate/3262

  80. 빅 데이터에 대한 건설기업의 인식 실태와 향후 대응 방향,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cerik.re.kr/file/download/report/1689?filename=%EB%B9%85%20%EB%8D%B0%EC%9D%B4%ED%84%B0%EC%97%90%20%EB%8C%80%ED%95%9C%20%EA%B1%B4%EC%84%A4%EA%B8%B0%EC%97%85%EC%9D%98%20%EC%9D%B8%EC%8B%9D%20%EC%8B%A4%ED%83%9C%EC%99%80%20%ED%96%A5%ED%9B%84%20%EB%8C%80%EC%9D%91%20%EB%B0%A9%ED%96%A5.pdf

  81. 건설업계, 낭비와 손실 AI로 찾아낼 수 있을까?...전방위 비용절감 모색 - 녹색경제신문,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greened.kr/news/articleView.html?idxno=325459

  82. “디지털 전환도 양극화”…건설사 간 격차 커 - ceo스코어데일리,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m.ceoscoredaily.com/page/view/2022092615533849835

  83. “스마트건설 기술은 언감생심”…중소형사는 생존도 벅차다 - 매일일보,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233096

  84. 공공공사 BIM도입 의무화…설자리 잃은 중소건설 '벙어리 냉가슴' - 뉴데일리 경제,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3/06/15/2023061500051.html

  85. “중견·중소 건설사 디지털화·자동화 개발 위한 지원 및 정책 수립 필요” < 기획 < 뉴스종합 < 기사본문 - 대한전문건설신문,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koscaj.com/news/articleView.html?idxno=312675

  86. 건설산업 내 최신기술 융합 위한 시도 많아,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www.conslove.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525

  87. 현대건설, 2030년까지 스마트건설 기술 개발 등에 2000억원 투자 - CEOSCOREDAILY,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ceoscoredaily.com/page/view/2022082514280640897

  88. Bechtel | Case Study | EX Squared - YouTube,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g7cOyxkxUGM

  89. Bechtel - EX Squared,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xsquared.com/case-studies/bechtel/

  90. Bechtel Is Turning to Artificial Intelligence for Megaprojects -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pmi.org/learning/library/bechtel-artificial-intelligence-megaprojects-11404

  91. Case Study: How AI is Reshaping Skanska's Construction Processes - AI Expert Network,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aiexpert.network/ai-at-skanska/

  92. With AI, 'walk before you run': Skanska USA exec | Construction Dive,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constructiondive.com/news/ai-skanska-sidekick-safety-project/748732/

  93. Skanska launches “Safety Sidekick” AI tool to advance job site safety across the U.S.,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usa.skanska.com/who-we-are/media/press-releases/298531/Skanska-launches-Safety-Sidekick-AI-tool-to-advance-job-site-safety-across-the-U.S

  94. Digital | Expert services - VINCI Building,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vinci-building.co.uk/expert-services/digital/

  95. 포스코이앤씨, AI기술로 건설현장 기상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newsroom.posco.com/kr/%ED%8F%AC%EC%8A%A4%EC%BD%94%EC%9D%B4%EC%95%A4%EC%94%A8-ai%EA%B8%B0%EC%88%A0%EB%A1%9C-%EA%B1%B4%EC%84%A4%ED%98%84%EC%9E%A5-%EA%B8%B0%EC%83%81-%EA%B4%80%EB%A6%AC%EC%9D%98-%EC%83%88%EB%A1%9C%EC%9A%B4/

  96. '건설산업의 스마트화 전환' 위해 규제 개선 나선다 - 한국무역협회,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kita.net/board/totalTradeNews/totalTradeNewsDetail.do;JSESSIONID_KITA=9E7D2FDD8291EBBAD3133EA53ACD863E.Hyper?no=73138&siteId=1

  97. [대한전문건설신문] 스마트건설 시동…공사비 산정기준 마련 착수 - 2025 한국건설·안전박람회,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k-consafetyexpo.com/fairBbs.do?selAction=view&FAIRMENU_IDX=7776&BOARD_IDX=54064&BOARD_NO=517&selPageNo=1&hl=KOR

  98. 보 도 참고 자 료 - 국토교통부,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olit.go.kr/LCMS/DWN.jsp?fold=koreaNews/mobile/file&fileName=230210%28%EC%B0%B8%EA%B3%A0%29_%EA%B1%B4%EC%84%A4%ED%98%84%EC%9E%A5_%EC%95%A0%EB%A1%9C_%ED%95%B4%EC%86%8C%EB%A5%BC_%EC%9C%84%ED%95%9C_%EA%B7%9C%EC%A0%9C%EA%B0%9C%EC%84%A0_%EC%84%A0%EC%A0%95_%EC%B6%94%EC%A7%84%28%EA%B1%B4%EC%84%A4%EC%A0%95%EC%B1%85%EA%B3%BC%29.pdf

  99. 건설기술진흥업무 운영규정 | 국가법령정보센터 | 행정규칙,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law.go.kr/LSW/admRulLsInfoP.do?chrClsCd=&admRulSeq=2100000217331

  100. 서울시, 지자체 최초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 기술형입찰, 민간투자사업에 즉시 적용,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smartcity.go.kr/2025/03/13/%EC%84%9C%EC%9A%B8%EC%8B%9C-%EC%A7%80%EC%9E%90%EC%B2%B4-%EC%B5%9C%EC%B4%88-%EC%8A%A4%EB%A7%88%ED%8A%B8-%EA%B1%B4%EC%84%A4%EA%B8%B0%EC%88%A0-%EB%8F%84%EC%9E%85-%EA%B8%B0%EC%88%A0%ED%98%95/

  101. 건설기술진흥업무 - 국토교통부,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olit.go.kr/LCMS/DWN.jsp?fold=law&fileName=%E3%80%8C%EA%B1%B4%EC%84%A4%EA%B8%B0%EC%88%A0%EC%A7%84%ED%9D%A5%EC%97%85%EB%AC%B4_%EC%9A%B4%EC%98%81%EA%B7%9C%EC%A0%95%E3%80%8D%EC%9D%BC%EB%B6%80%EA%B0%9C%EC%A0%95%ED%9B%88%EB%A0%B9(%EC%95%88).hwp

  102. 22년 적용 공사비 산정기준 개정공고 | 국내동향,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www.aurum.re.kr/Research/PostView.aspx?mm=1&ss=1&pid=23047

  103. [기획] 스마트건설, 대기업 전유물인가… - 국토교통신문,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itbs1.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96

  104. [국토매일] 서울시, 건설현장 고령·외국인 근로자 대상 `하반기 찾아가는 안전교육·상담` 실시,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www.pmnews.co.kr/113708

  105. 건설산업 인력양성 정책 평가와 개선 방향,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cerik.re.kr/uploads/report/2958/%EA%B1%B4%EC%84%A4%EC%82%B0%EC%97%85%20%EC%9D%B8%EB%A0%A5%EC%96%91%EC%84%B1%20%EC%A0%95%EC%B1%85%20%ED%8F%89%EA%B0%80%EC%99%80%20%EA%B0%9C%EC%84%A0%20%EB%B0%A9%ED%96%A5(%EC%B5%9C%EC%9D%80%EC%A0%95).pdf

  106. 국내 외국인 건설근로자 안전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 KAIS(사) 한국산학기술학회,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kais99.org/jkais/journal/Vol25no03/Vol25no03p44.pdf

  107. “건설산업 디지털 전환은 필수불가결… 건설기준 디지털화부터 시작” - 공학저널,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www.engjournal.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01

  108. 디지털 전환 실패 '2조 3천억 달러' 손실 - 지티티코리아,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gtt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9867

  109. 건설 빅데이터, 어디까지 왔을까? - 산군,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ankun.com/blog/detail/224_%EA%B1%B4%EC%84%A4_%EB%B9%85%EB%8D%B0%EC%9D%B4%ED%84%B0__%EC%96%B4%EB%94%94%EA%B9%8C%EC%A7%80_%EC%99%94%EC%9D%84%EA%B9%8C_

  110. 건설 데이터, 왜 중요할까? - 산군, 7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ankun.com/blog/detail/235_%EA%B1%B4%EC%84%A4_%EB%8D%B0%EC%9D%B4%ED%84%B0__%EC%99%9C_%EC%A4%91%EC%9A%94%ED%95%A0%EA%B9%8C_

 
 
 

댓글


SOCIAL MEDIA

  • 화이트 페이스 북 아이콘
  • 화이트 유튜브 아이콘
  • 화이트 Google Play의 아이콘

* 상호 씨엠엑스 * 사업자등록번호 : 114-86-70890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6- 서울금천-0474호 * 대표이사 : 이기상

* 주소 : 서울 금천 디지털로9길32 갑을그레이트밸리 B 1604 * 대표전화 :02 3462 1336 * 팩스 :3462-1306

bottom of page